기시다 "韓 포함 G8 확대에 日이 반대? 사실 아냐… 논의도 안 돼"

입력
수정2023.05.15. 오전 10:06
기사원문
노민호 기자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기시다 일본 총리·홍석현 중앙홀딩스 회장 대담서 관련 언급
윤석열 대통령과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가 지난 7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소인수 회담에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대통령실 제공)


(서울=뉴스1) 노민호 기자 =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 일본 총리가 우리나라의 주요 7개국(G7) 참여 가능성과 관련해 논의된 적이 없다고 선을 그었다. 다만 일본이 한국의 G7 참여를 반대하고 있다는 설(說)에 대해서는 '사실무근'이라고 했다.

15일 중앙일보에 따르면 기시다 총리는 이달 11일 일본 도쿄 총리공저에서 진행된 홍석현 중앙홀딩스 회장과의 대담에서 이 같은 입장을 밝혔다.

기시다 총리는 홍 회장이 "한국 내엔 G7에 한국이 새롭게 들어가 G8(주요 8개국)을 만드는 데 미국은 찬성하지만 일본이 반대한다는 시각이 있다"라고 하자, "지금까지 G7 내에서 멤버 확대에 대해 논의해 본 적이 없다"라고 답했다.

기시다 총리는 그러면서 "미국이 찬성이고 일본은 반대라는 구도는 사실이 아니다"라고도 말했다. 그는 다만 우리나라의 G7 가입을 '환영한다'거나 이를 추진하겠다는 뜻은 내비치지 않았다.

1970년대 미국·영국·프랑스·독일·일본 등 주요 5개국(G5)로 출범한 지금의 G7은 1997년 러시아의 가입으로 한때 G8이 됐다.

그러다 2014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크름반도 침공 및 강제병합에 따라 '회원국 자격 무기한 박탈'로 현재의 G7 체제로 유지되고 있다.

주요 7개국(G7) 정상들. ⓒ 로이터=뉴스1 ⓒ News1 정윤영 기자


우리나라의 가입 등 G7 확대에 대한 가능성이 본격 제기된 건 문재인 전 대통령 재임 시절인 2020년부터다.

특히 도널드 트럼프 당시 미 대통령이 "현재의 G7 구성은 시대에 뒤떨어졌다"며 한국·호주·인도 등을 G7에 포함해야한다는 주장을 펼침에 따라서다.

이에 따라 G10(G7+한국·호주·인도) 혹은 G11(G7+한국·호주·인도·러시아) 출범 가능성에 외교가의 시선이 쏠렸다.

하지만 그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전 세계적 유행 탓에 G7 정상회의는 열리지 못했다. 이듬해 G7 정상회의가 열렸지만 협의체 확대를 의제로 한 본격 논의로 이어지진 못했다.

또 일본 매체 등을 통해 G7 원년 멤버이자 유일한 아시아권 회원국인 일본이 한국의 G7 가입에 '부정적' 입장을 취하고 있다는 보도도 나왔다.

이런 가운데 오는 19~21일 일본 히로시마(廣島)에서 열리는 G7 정상회의 기간 G7 확대에 대한 정상 간 논의가 이뤄지는 게 아니냐는 일부 분석이 나왔다. 최근 우리 정부의 일제강점기 강제동원 해법 발표 이후 한일관계 개선에 '훈풍'이 부는 분위기도 영향을 줄 것이라는 관측에서다.

그러나 기시다 총리의 이번 발언에서 확인할 수 있듯, 그간 G7 정상 간에 직접적인 확대 논의 자체가 없었기 때문에 관련 내용의 '급진전'은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대통령실 관계자도 전날 기자들과 만나 "현재로서는 G7 변동에 대한 논의가 진행되지 않고 있다"라고 말하기도 했다.

G7은 조약이나 협정에 따라 만들어진 기구가 아니기 때문에 명문화된 가입 조건이 없다. 다만 다른 회원국들의 컨센서스(전원동의) 절차를 거쳐야만 회원국이 될 수 있다.

기자 프로필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정치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