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의 정권인수팀이 이란을 파산시키는 것을 목표로 정책을 준비 중이라는 보도가 나왔다. 취임 첫날 발표하기 위해 이란의 원유 수출에 대한 제재를 강화하고 새 제재를 추가하는 행정명령을 작성하고 있다는 것이다.
16일(현지시간) 파이낸셜타임스(FT)는 트럼프의 정권인수 과정에 정통한 소식통을 인용해 “트럼프는 (하마스·헤즈볼라 등) 지역 내 이란 추종 세력에 조달되는 자금을 끊고 핵무기 개발 능력을 제거하기 위한 ‘최대 압박’ 정책을 가능한 빨리 부활시키기로 결심했다”고 보도했다.
트럼프는 첫 임기 때 이란핵합의(JCPOA·포괄적공동행동계획)를 파기하고 이란에 수백 건 제재를 가하는 ‘최대 압박’ 캠페인을 벌였다. 이에 맞서 이란은 핵 활동을 강화하고 무기급 수준에 가까운 우라늄을 농축한 것으로 알려져 왔다.
조지 W. 부시 행정부의 에너지 고문을 지낸 밥 맥널리는 “그들(트럼프 2기)이 정말 끝까지 간다면 이란의 원유 수출을 하루 수십만 배럴로 급격히 줄일 수 있을 것”이라며 “이란 경제는 트럼프 1기 당시보다 더 취약해 매우 좋지 않은 상황이 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FT는 소식통을 인용해 “트럼프 2기의 최대 압박은 이란의 군비 확충과 이란 대리 그룹의 자금줄을 차단하려 구상됐으나, 궁극적으로는 이란을 새 핵협상 테이블로 끌어내고 이란의 중동 정책까지 전환시키려는 목표가 있다”고 전했다.
지난주 미 법무부는 이란 요원들이 트럼프가 재선되기 전 암살을 계획했다고 밝혔다. 연방 검찰은 앞서 8월 이란과 연계된 파키스탄인을 트럼프 암살 음모 혐의로 기소하기도 했다. 이란은 트럼프가 2020년 1월 이란혁명수비대(IRGC) 쿠드스군 사령관 가셈 솔레이마니 살해를 지시한 데 대해 보복을 천명해왔다.
이번에 이란이 보낸 서한에 특정인의 서명은 없었다고 한다. 서한이 트럼프에게 전달됐는지는 미 당국자 등은 언급하지 않았다.
이란은 동시에 서방이 우려하는 핵무기 개발에 대해서도 유화적 메시지를 내고 있다. 마수드 페제시키안 이란 대통령은 14일 라파엘 그로시 국제원자력기구(IAEA) 사무총장을 만난 후 “우리는 어떤 식으로든 핵무기 생산을 시도하지 않았고 앞으로도 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WSJ은 “서방에선 최근 몇 달간 이란이 핵무기 제조를 결정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졌다”며 “차기 트럼프 행정부가 직면한 가장 큰 과제 중 하나일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곳은 핵폭탄을 터뜨리는데 필요한 폭발 장치를 설계하는 데 사용됐는데, 이는 이란 정부 내에서도 극소수만 아는 기밀 사항이었다고 한다. 이 시설은 2003년 폐쇄된 것으로 보고됐지만 올해 초 미 정보기관이 이란 과학자들이 연구를 수행하는 것을 적발했다.
미국은 이란에 작전을 중단하라는 경고를 보냈지만 활동은 계속됐다. 전문가들은 이란이 결단만 한다면 짧은 시일 내 원자폭탄을 만들 수 있다고 본다. 악시오스는 “이 시설은 이란이 공식적으로 신고한 핵 프로그램 일부가 아니어서 공격의 중요성을 인정할 수 없었을 것”이라고 봤다.
이스라엘 경찰은 “총리와 가족은 자택에 없었다”고 밝혔으나, 이스라엘 카츠 국방장관은 “이란과 대리인으로부터 위협을 받고 있는 이스라엘 총리가 국내에서 같은 위협을 받는 건 위험선을 넘었다”며 조치를 촉구했다. 이스라엘 총리 관저는 예루살렘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