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5년간 87명 이탈...영재학교 떠나는 영재들, 왜?

입력
수정2023.08.22. 오전 9:13
기사원문
이유나 기자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사진 출처=게티이미지뱅크

최근 5년간 영재학교에 다니다 그만둔 학생이 87명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22일 연합뉴스 보도에 따르면 학교 정보 공시 사이트인 '학교알리미'와 종로학원에 따르면 올해(이하 공시 연도 기준) 7개 영재학교(한국과학영재학교 제외)에서 다른 학교로 전학 가거나 학업을 중단하는 등 중도 이탈한 학생은 18명으로 집계됐다.

전체 학생 대비 중도 이탈률은 0.9%로 전체 고등학교(3.3%)보다 낮지만, 최근 5년 사이 영재학교 중도 이탈이 심화됐다.

영재학교 중도 이탈 학생은 2015년 3명, 2016년 2명, 2017년 7명이었다. 2018년에는 11명으로 소폭 늘어나더니 2019년 19명, 2020년 18명 이후 15명 밑으로 내려가지 않고 있다.

2019년∼2023년 사이 중도 이탈한 학생만 87명에 달한다. 중도 이탈 학생의 상당수는 1학년에 해당하는 것으로 보인다.

올해 영재학교 중도 이탈 학생 가운데 1학년 학생은 절반인 9명으로 집계됐다. 지난해에는 40%인 6명, 2021년에는 52.9%인 9명이었다. 2019년에는 57.9%, 2020년에는 66.7%가 1학년이었다.

과학고도 2017년 이후 매년 40∼60명대가 중도 이탈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영재학교 중도 이탈이 증가하는 배경에는 영재학교 출신이 의대로 진학할 경우 불이익을 받게 된 여파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각 학교가 학생들이 의약학 계열로 진학을 희망할 경우 교육비·장학금을 반납하고 교육·연구 활동을 기재하지 않은 학교생활기록부를 제공하는 등 불이익을 강화해왔기 때문이다.

학교에 적응하지 못해 학업을 포기하는 경우도 적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특히 조기 입학생의 경우 학교 부적응 문제에 더욱 취약하다고 교육계는 지적하고 있다.

입학 전형에서 별다른 연령 제한을 두지 않는 영재학교의 경우, 중학교 조기 졸업생은 7.3%로 집계됐다. 조기 입학생들은 다른 학생들보다 절대적인 학습 시간이 부족하기 때문에 학업을 따라가는 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고 교육계는 분석하고 있다.

또 조기 입학생들이 또래 관계 때문에 학교에 적응하지 못하는 것도 요인으로 꼽힌다. 학교생활에서는 학업 능력뿐 아니라 또래 집단과 교류·소통하기 위한 정서적·신체적 성숙도 필요하지만 조기 입학생은 이를 갖추지 못할 공산이 크기 때문이다. 특히 영재학교는 팀 과제가 많아 이러한 능력을 요구로 한다.

만 10세의 나이로 영재학교인 서울과학고에 입학했다가 자퇴한 백강현 군도 팀 과제에서 어려움을 겪은 사실이 전해져 논란이 되기도 했다. 백군 측은 발표 방식을 바꿔 달라고 요구했으나, 학교 측은 팀 과제 발표 방식을 바꾸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백군을 둘러싼 논란을 계기로 조기 입학생을 포함해 영재학교 학생들의 학교 적응에 대한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제기되고 있다.

이와 관련 교육부 관계자는 연합뉴스에 "영재학교·과학고 사회통합 전형 입학자 중 희망자를 대상으로 입학 전 수학·과학 학습을 지원하고, 입학 후 한국과학기술원(KAIST) 재학생 멘토링 등을 지원하고 있다"며 "고도 영재 지원과 관련한 정책연구도 추후 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기자 프로필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사회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