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조선社, 카타르 8조원대 LNG운반선 독식 ‘청신호’

입력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조선3사만 40척 수주전 참여

경쟁했던 日업체는 입찰 보류


국내 조선사들이 올해 하반기에 카타르가 발주하는 8조 원대 LNG 운반선 수주를 독식할 것으로 보인다.

3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현대중공업, 대우조선해양, 삼성중공업 등 한국 조선사 3곳만이 카타르국영석유 산하 카타르가스에서 실시한 대형 LNG 운반선 40척 수주전에 참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1척당 선가가 2000억 원인 점을 감안하면 규모는 8조 원에 이른다. 당초 경쟁사로 꼽혔던 미쓰이E&S조선 등 일본 조선사들은 입찰을 보류한 것으로 확인됐다.

카타르가스는 40척 대형 LNG 운반선 납기일을 2023~2026년 인도로 정했고, 요구 선형으로 멤브레인을 지정했다. 이러한 조건을 동시에 충족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춘 조선사는 한국 조선 빅3를 제외하면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일본 조선사들도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으나 선박 건조 능력이 떨어지는 데다 멤브레인보다는 모스에 특화돼 있다.

LNG 운반선 선형은 LNG 적재 화물창 방식에 따라 멤브레인과 모스로 나뉜다. 모스는 선체에 공 모양의 화물창 수 개를 실어놓은 형태인 반면 멤브레인은 선체와 화물창을 일체화한 형태다. 최근에는 멤브레인형(型) LNG 운반선이 대세를 이루고 있다. 추가 수주 가능성도 있다.

카타르는 2024년까지 자국 가스전인 노스필드를 확장해 LNG 생산능력을 연 7700만t에서 1억1000만t까지 늘릴 계획이다. 또 미국 텍사스주에서 미국 엑슨모빌과 손잡고 연산 1600만t의 대형 프로젝트 ‘골든패스 LNG’를 개시한다. LNG 운반선이 추가로 필요할 수밖에 없는 이유다.

이에 따라 조선업계 안팎에선 카타르의 LNG 운반선 최종 발주 척수가 많게는 100척에 육박할 것이며 이 중 상당 부분을 한국 조선사들이 차지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한편 한국 조선 3사는 미국 에너지 회사 아나다코의 모잠비크 LNG 가스전 개발 프로젝트 LNG 운반선 분야 최종 후보에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유회경 기자 yoology@munhwa.com

[ 문화닷컴 바로가기 | 문화일보가 직접 편집한 뉴스 채널 | 모바일 웹 ]


[Copyrightⓒmunhwa.com '대한민국 오후를 여는 유일석간 문화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구독신청:02)3701-5555)]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경제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