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굴자 (Miner : 채굴 업계)는 BTC 네트워크 상 블록의 생성 및 주문에 있어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개체 (entity)라 할 수 있습니다. 이들은 연산을 통한 블록 보상으로 새로 발행 (Issued)되는 BTC와 거래 수수료 (Transaction fee)를 통해 수익을 얻습니다. 이들은 BTC의 발행, 즉 공급을 담당함과 동시에 BTC 자체의 가격에 따라 수익성이 달라지게 되므로 BTC 현물가 (spot price)에 복합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이번 온체인 이해 #11 편에서는 채굴자와 관련된 다양한 지표: BTC 생산 (채굴) 비용 (Production cost), 채굴 난이도 (Difficulty) 등을 알아보며 각 지표의 특징과 현황을 다루어보도록 하겠습니다.
*참고 자료 출처 : Glassnode Insights : ‘Estimating The Cost of BTC Production’, CryptoQuant Charts
<INDEX> I. BTC 생산 비용은 얼마나 될까? I-1. 해시레이트 : Hashrate I-2. 채굴 난이도 : Difficulty I-3. BTC 생산 비용 : Production Cost II. BTC 채굴 사이클 (feat. 반감기) III. 채굴 비용과 채굴 수익성의 관계 IV. 채굴 수익성과 재정 압박 (feat. MPI & Puell Multiple) |
치과아저씨의 투자 스케일링 구독으로 더 많은 콘텐츠를 만나보세요!
전주 월요일 00시부터 일요일 24시까지 집계한 결과입니다.
댓글
유사투자자문업으로 등록한 채널입니다.
자본시장법에 따라 유사투자자문업은 양방향 소통(ex. 댓글)을 이용한 영업 활동이 허용되지 않으며,
이에 따라 해당 채널은 댓글 기능을 사용하지 않기로 결정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