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엔화 폭락에 고통받는 수출 기업들
외환 시장에서 원화는 대개 엔화와 비슷한 흐름인데, 올 들어 엔화 가치가 크게 떨어졌다. 달러·엔 환율은 연초 대비 13%가량 떨어져 160엔을 위협한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 5월 수입물가지수는 5개월 만에 하락했지만 엔저에 따른 원화 가치 하락 탓에 하반기 다시 상승세로 돌아설 것으로 점쳐진다. 이는 결국 국내 물가 상승으로 돌아오게 된다. 수출이 회복세이지만 고환율 상황이 계속 이어지는 탓에 내수 회복마저 늦어지는 것이다. 수출 시장의 타격, 특히 철강과 자동차 분야는 심각할 수 있다. 해외 수출품에 들어가는 부품 역시 가격 경쟁력을 확보하지 못하면 제조업 전체에 위기가 닥칠 수 있다.
엔저는 상당 기간 지속될 수 있다. 2030년쯤 달러 대비 엔화가 200엔까지 떨어진다는 전망마저 나온다. 가뜩이나 엔화가 시장에 많이 풀린 상황에서 일본인들은 계속 엔화를 팔고 달러를 사들인다. 일본 정부가 은행에 예치된 국민들의 자산을 주식시장으로 유도하고자 대대적인 비과세 정책을 내놨는데, 시중에 쏟아져 나온 자금들 중 60%가량이 미국 주식 투자에 몰렸다. 달러를 더 사들였다는 뜻이다. 일본은 엔화 약세 탓에 5월 수출이 13.5%나 증가했지만 그에 따라 무역적자도 커지고 있다. 정부가 적극 개입해 원화 가치 추가 하락을 막지 못하면 우리도 같은 길을 걸을 수 있다.
Copyright ⓒ 매일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오피니언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QR을 촬영해보세요. 네이버에서 매일신문 구독하기
-
QR을 촬영해보세요. 나눔의 기적, 매일신문 이웃사랑
3
매일신문 헤드라인
더보기
매일신문 랭킹 뉴스
오전 11시~정오까지 집계한 결과입니다.
더보기
함께 볼만한 뉴스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