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갤럽이 3∼5일 전국 유권자 1001명을 대상으로 실시해 6일 공개한 정례 여론조사에서 ‘내년 대입 정원을 기존 3000여명에서 약 4500명으로 확대한 것은 잘된 일’이라는 응답은 56%로 나타났다. 34%는 ‘잘못된 일’이라고 답했다.
|
추석 연휴를 앞두고 전국 병원 곳곳이 응급실 운영에 차질을 빚고 있는 가운데 지난 5일 경기도 성남시 한 병원 응급의료센터 앞에 응급실 진료 지연 관련 안내문이 붙어 있다. 연합뉴스 |
의대 증원에 의사들이 반발하면서 발생한 의료 공백 사태에 대한 정부 대응을 두고는 부정적 여론이 팽배했다.
정부가 대응을 ‘잘하고 있다’는 응답은 21%에 그친 반면, ‘잘못하고 있다’고 답한 비율은 3배가 넘는 64%였다.
|
특히 이번 조사에서는 의대 증원 긍정론자(563명 중 50%)와 보수 성향(256명 중 49%) 사이에서도 절반 가까이가 정부 대응을 부정적으로 평가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국민의힘 한동훈 대표가 제기한 ‘2026학년도 증원 유예안’에는 찬성이 48%로 반대 36%보다 많았다. 내년도 증원 긍정론자들 사이에서는 찬성이 58%로 더욱 많았다.
이 방안은 한 대표가 제안해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도 공감을 나타낸 바 있지만, 대통령실이 거부했다. 그러나 국민의힘 지지층 62%, 보수층 60%, 대통령 직무수행 긍정 평가자 66%가 이 방안을 지지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의대 정원 확대와 관련해 ‘정부와 의사 중 누구를 더 신뢰하느냐’는 물음에는 의견이 팽팽하게 엇갈렸다. 38%가 정부, 36%는 의사를 더 신뢰한다고 했고 25%는 선택을 유보했다.
|
서울 시내 한 대형병원에서 의료진이 이동하고 있다. 연합뉴스 |
의료 공백 사태로 ‘아플 때 진료받지 못할까 봐 걱정된다’는 응답은 3월 2주차 69%에서 이번에 79%로 늘었다. 진료 차질 우려감은 대부분 응답자 특성에서 70%를 웃돌았다. 과거 코로나19,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우려 등은 정치적 성향에 따라 차이가 컸지만, 이번 사안에서는 그렇지 않았다고 갤럽은 설명했다.
갤럽은 진료 차질 우려(정서적 반응)와 별개로 ‘자신이 아플 때 진료받지 못할 가능성’(인지적 판단)을 물었는데, ‘많이 있다’ 42%, ‘어느 정도 있다’ 29%, ‘별로 없다’ 16%, ‘전혀 없다’ 7%로 파악됐다. 71% 응답자가 본인이 아플 때 진료를 받지 못할 수 있다고 판단하는 셈이다. 이 역시 3월 2주차 57%보다 증가한 수치다.
이번 조사는 무작위 추출된 무선전화 가상번호에 전화 조사원 인터뷰 방식으로 진행됐다. 자세한 내용은 한국갤럽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