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무 사람 같아서 섬뜩…‘초정밀 로봇 손’ 등장

입력
수정2024.12.29. 오후 7:54
기사원문
이정호 기자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캐나다 기업 생추어리 AI 개발
손가락 인간처럼 움직이며 작동
동작 정교·힘 강력…산업현장 이용
캐나다 기업 생추어리 AI가 개발한 로봇 손. 사람처럼 손가락 관절이 달렸고, 정교한 움직임과 강력함 힘을 모두 구현할 수 있다. 생추어리 AI 제공


진짜 사람 손처럼 관절을 펴고 구부려 각종 도구를 세밀하게 조작하는 것은 물론 무거운 물체도 거뜬히 들 수 있는 로봇 손이 개발됐다. 산업 현장에서 사람을 닮은 로봇이 널리 보급되는 데 기여할 기술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캐나다 기업 ‘생추어리 AI(인공지능)’는 최근 사람처럼 몸통과 팔·다리가 달린 안드로이드 로봇에 장착하도록 고안된 산업용 로봇 손을 만들었다고 회사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밝혔다.

이 로봇 손의 겉모습은 피부가 없는 사람 손이다. 관절이 달린 손가락 5개가 장착돼 있다. 각 손가락은 펴고 구부리는 일은 물론 손가락 끝을 서로 마주치는 동작도 거뜬히 해낼 수 있다. 손가락 5개를 손바닥 위에서 오므린 다음 손가락 끝으로 주사위를 바닥에 떨어뜨리지 않고 뱅글뱅글 돌리는 일도 가능하다. 영락 없는 사람 손이다.

더 어려운 동작도 할 수 있다. 집게손가락부터 새끼손가락에 이르는 손가락 4개로는 공구인 ‘멍키스패너’의 길쭉한 몸통을 움켜잡은 뒤 엄지로는 멍키스패너 머리 부위에 달린 나사형 조절 장치를 뱅글뱅글 돌리는 일이 가능하다. 현재는 사람 손이 아니면 하기 어려운 동작이다. 하지만 생추어리 AI가 개발한 로봇 손은 할 수 있다.

로봇 손은 정밀한 움직임뿐만 아니라 강력한 힘도 구현할 수 있다. 수십㎏짜리 무거운 화물을 들어올릴 수 있도록 만들어졌다. 정밀도는 물론 산업 현장에서 필요한 고중량 운송 능력까지 갖춘 셈이다.

생추어리 AI의 로봇 손이 이 같은 성능을 갖춘 것은 자체 개발한 소형 유압 시스템을 사용했기 때문이다. 본래 유압 시스템은 오일을 사용해 무거운 기계를 동작시키는 데 쓰이는데, 덩치가 크고 정밀한 움직임을 구현하기는 어렵다.

이 때문에 현재 다른 기업들에서 고안 중인 일반적인 로봇 손은 전기 모터에서 뽑은 구동력으로 얇은 케이블을 움직여서 작동한다. 정밀한 움직임을 만들어낼 수 있지만, 강한 힘을 내기에는 한계가 있다. 생추어리 AI는 기존 유압 시스템을 개선해 덩치는 소형화하면서도 세밀한 움직임을 만들 수 있는 ‘일석이조’ 방법을 찾은 것이다.

생추어리 AI는 로봇 손 말단 부위, 즉 사람으로 따지면 지문이 있는 부위에 붙일 감각 센서도 고안한 상태여서 조만간 위험하고 힘든 노동을 대신해줄 로봇이 선보일 가능성이 더욱 커질 것으로 보인다.

기자 프로필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IT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