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든·시진핑, 4개월 만에 통화… 대만 문제·기술 전쟁 ‘팽팽’

입력
기사원문
송세영 기자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양국 관계 안정 관리 필요성 공감
시진핑 “대만은 첫 번째 레드라인”
바이든, 한반도 완전한 비핵화 강조
AFP연합뉴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2일(현지시간) 전화 통화를 갖고 양국 및 글로벌 현안에 대해 논의했다. 미국은 11월 대선을 앞두고 있고, 중국은 경제 회복이 시급한 상황에서 두 정상은 양국 관계의 안정적 유지·관리 필요성에 공감했지만 기술전쟁과 대만 문제 등에서는 입장 차이만 재확인했다.

미국 백악관과 중국 관영 신화통신 등에 따르면 두 정상은 이날 1시간45분간 통화했다. 양국 정상 간 직접 소통은 지난해 11월 샌프란시스코 정상회담 이후 4개월여 만이다.

백악관은 “두 정상이 다양한 양자, 지역 및 글로벌 이슈에 대해 솔직하고 건설적인 논의를 했다”고 밝혔다. 신화통신은 이날 통화가 바이든 대통령의 요청으로 이뤄졌다고 보도했다.

백악관은 두 정상이 지난해 11월 회담에서 논의한 마약 퇴치 협력, 양국 군대 간 지속적 소통, 인공지능(AI) 관련 위험 완화, 기후변화 대응 등 핵심 현안에서 이룬 진전을 점검하고 장려했다고 전했다.

신화통신에 따르면 바이든 대통령은 “지난해 정상회담 이후 미·중 관계의 진전은 양측이 이견을 책임감 있게 관리하면서 적극적으로 협력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시 주석은 올해 양국 관계의 3대 원칙으로 평화 중시, 안정성 우선, 신뢰성 유지를 제시했다.

대만 문제에선 팽팽하게 맞섰다. 바이든 대통령은 대만해협의 평화와 안정 유지, 남중국해에서 법치와 항해의 자유 수호가 갖는 중요성을 강조했다. 중국이 대만해협의 긴장을 고조시키는 행동에 나서지 말 것을 촉구한 것이다.

시 주석은 “대만 문제는 중·미 관계에서 넘지 말아야 할 첫 번째 레드라인”이라며 “대만 독립 세력의 분리주의 활동과 이들에 대한 외부의 지원을 용납하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신화통신은 바이든 대통령도 대만 독립을 지지하지 않는다는 입장을 밝혔다고 전했다.

기술전쟁과 관련해 바이든 대통령은 “부당한 무역과 투자 제한은 하지 않는다”면서도 “미국의 선진 기술이 미국의 국가안보를 약화시키는 데 사용되지 않도록 필요한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말했다. 첨단 반도체 등 핵심 기술 공급망에서 중국의 접근을 제한하는 디리스킹(위험 제거) 기조를 고수하겠다는 의미다.

시 주석은 “미국이 중국에 대해 끝없는 경제·무역·기술 억압 조치를 취해 중국 기업에 대한 제재 목록이 점점 더 길어지고 있다”면서 “이는 디리스킹이 아니라 리스크(위험)를 창출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미국이 중국의 첨단 기술 발전을 억압하고 정당한 발전권을 박탈하려 하면 좌시하지 않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에 대한 미국의 지속적인 공약’을 강조하며 북핵 반대 입장을 재확인했다. 중국이 우크라이나와 전쟁 중인 러시아를 지원하는 데 대한 우려도 표했다. 이들 현안에 대한 시 주석의 발언 내용은 공개되지 않았다.

기자 프로필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세계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