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종환, 中의 티베트 인권탄압 지적에 “그건 1959년 일”

입력
수정2023.06.19. 오전 11:07
기사원문
박준희 기자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더불어민주당 도종환(가운데) 의원을 비롯한 박정(오른쪽), 신현영 의원 등 중국교류 방중단이 지난 18일 오후 인천국제공항을 통해 귀국하고 있다. 뉴시스


中대사 논란에 도 의원 “中 측 표현은

‘한중관계 헤어질 수 없는 부부관계’”

방중단 민병덕 의원도 티베트 지적에

“70년 전 이야기, 국익에 도움 되나”


최근 한중 관계 긴장 속에 방중 일정을 마친 도종환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중국 정부의 티베트 ‘인권탄압’ 논란에 관해 “그건 1951년, 1959년에 있었던 일”이라고 일축했다.

도 의원은 19일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서 이번 티베트 방문에 관해 ‘인권탄압에 눈감은 중심국(중국) 행사에 왜 가느냐, 이런 비판이 있다’는 질문에 “지금은 관광과 문화를 통해서 엑스포를 하는 곳에 초청받아서 간 것이다. 그건 약간 별개의 문제로 봐주면 좋겠다”며 이같이 말했다.

도 의원은 이번 방중에 앞서 불거진 싱하이밍(邢海明) 주한 중국대사의 ‘미국 승리에 베팅하면 후회’ 발언 논란에 대해 중국 측에서 뭔가 언급이 있었냐는 질문에 “구체적으로 공식 논의에서 다루지는 않았지만 그쪽에서 외교 문제가 지금 너무 감정적으로 다뤄지는 것보다는 이성적, 합리적으로 한중 관계가 논의돼야 한다라는 이야기를 했다”며 “나도 동의한다. 그리고 제가 중국 외교부를 만나서 이야기한 것은 좀 절제하자(는 것)”이라고 전했다. 이어 ‘싱 대사의 발언은 외교적 결례라는 건 분명한데 그 부분에 대해서 사과하라고 얘기하지 그랬냐’는 질문에도 도 의원은 “두 나라 사이에 외교 문제에서 저희가 외교를 대표해서 간 게 아니고 문화교류와 관광교류 때문에 간 것”이라며 “이미 가기 전에 (싱 대사의 발언이) ‘적절하지 않다’는 입장은 발표했다”고 답했다.

앞서 지난 15일 도 의원을 비롯한 박정·김철민·유동수·김병주·민병덕·신현영 민주당 의원 등은 중국 베이징(北京)에 도착해 이튿날 티베트 라싸를 방문, 티베트 인민대표대회(지방의회) 부주임(부의장에 해당)을 면담하고 제5회 티베트관광문화국제박람회에 참석했다. 당초 국민의힘 의원들도 함께 가기로 했지만, 최근 싱 대사의 발언 논란 등으로 참석을 취소한 것으로 알려졌다.

방중단에 함께 했던 민병덕 의원도 이날 SBS라디오 ‘김태현의 정치쇼’에서 “싱 대사의 발언이 적절하지 못했다는 것에 대해서는 저희도 동의한다”며 “다만 이럴 때일수록 저는 더 가야 된다라는 입장”이라고 밝혔다. 이번 방중 기간에 싱 대사 발언 논란에 관한 이야기가 나왔는지에 관한 질문에 민 의원은 “민감한 부분이니까 직접적으로 안 했다”며 “다만 대사 한 사람의 말에 의해서 중국과 한국의 관계가 파탄나는 그런 관계가 우리가 아니지 않느냐, 30년 간의 관계이지 않느냐, 이런 얘기들은 있었다”고 말했다. 이어 “(중국 측에서) 재미있는 표현을 썼는데 ‘한중관계는 헤어질 수 없는 부부관계와 같은 관계다’”라고 전했다.

또 민 의원도 티베트 인권탄압 문제에 대해 “1959년 티베트에서 중국에 대해서 무장봉기를 했을 때 자료에 보니까 12만 명이 죽었다 뭐 얘기가 있던데, 이걸 가지고 얘기를 하시는 것 같다”며 “70년 전에 있었던 그 내용을 우리가 부각하면서 이것을 계속해서 외교가에서 얘기하는 것이 과연 국익에 도움이 되는가”라고 반박했다. 그는 “2015년에 지금 대구시장인 홍준표 당시 경상남도 도지사가, 박근혜 정부 때 자매결연을 맺었다”며 “그리고 이번에 제5회 엑스포인데 여기에 경상남도 대표단이 중국의 비용, 중국의 초청으로 이미 초대를 받아서 와 있다”고 말했다. 민 의원은 “박근혜 정부 때 경상남도에서는 자매결연을 맺고 그리고 이런 대표단을 계속 주고받은 관계에서도 아무 말도 하지 않았던 상황”이라며 “이번에 민주당이 갔다고 이런 얘기를 하는 것인데, 티베트의 인권문제와 관련해서 이 민감한 상황을 우리 정부 내에서 이렇게 제기할 필요가 있는 것인가”라고 지적했다. 그는 “저희는 문화엑스포를 간 것”이라며 “거기에 관련 내용들 어디에도 그런 내용(티베트 인권탄압 문제)들은 없었다”고 일축했다.

한편 미국 국무부는 지난 15일(현지시간) 발표한 ‘2023 인신매매 보고서’에서 중국에 대해 신장 및 티베트 지역에서 위구르족 등 소수민족에 대한 탄압 및 강제 노동, 일대일로(一帶一路, 중국-중앙아시아-유럽을 연결하는 육상·해상 실크로드) 프로젝트에서의 강제 노동 등의 문제를 지적했다. 또 미 하원 외교위원회 인도·태평양 소위원장인 한국계 영 김 하원의원(공화·캘리포니아)과 민주당 간사인 아미 베라 의원(민주·캘리포니아)은 지난 2일 톈안먼 민주화 시위(톈안먼 사태) 34주년 기념일(6월 4일)을 앞두고 ‘톈안먼사태 희생자 추모 및 중국의 인권 및 기본적 자유 탄압 결의안’을 발의했다. 이들 의원은 결의안에서 “톈안먼 사태 이후 중국 정부는 인권 및 기본 자유에 대한 탄압을 강화하고 있다”며 “홍콩, 신장 및 티베트 등도 그런 지역에 포함됐다”고 지적했다.

또 중국의 압박을 피해 1959년 티베트를 탈출한 티베트의 정신적 지도자 달라이 라마는 인도 북부 다람살라에 티베트 망명정부를 세우고 여전히 비폭력 독립운동을 이끌고 있다. 국제인권단체들 역시 중국이 티베트인의 종교적 생활과 문화를 억압하면서 임의 구금과 고문 등 수많은 인권 침해를 자행한다고 주장해 왔다.

기자 프로필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정치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