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값 내려도 금리 급등에… 주택구입부담지수 또 사상 최고

입력
수정2023.01.02. 오후 12:10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서울 지난해 3분기 기준 214.6

원리금 상환에 소득 54% 할애

전국지수 89.3… 4분기째 최고

세종 134·경기 120으로 2,3위

2금융권 벽두부터 대출한도 하향


부동산 가격 하락에도 금리 인상에 따른 대출상환부담 변화를 보여주는 주택구입부담지수가 사상 최고를 경신했다. 주택구입부담지수는 중간소득 가구가 표준대출을 받아 중간가격 주택을 구입하는 경우의 상환 부담을 나타낸다. 지수가 높을수록 주택담보대출(주담대) 상환 부담이 커진다는 의미다. 제2금융권도 대출 한도를 줄이기 시작해 새해 벽두부터 금융 취약계층의 어려움은 한층 커질 전망이다.

2일 주택금융공사에 따르면 지난해 3분기 전국의 주택구입부담지수는 89.3으로, 관련 통계가 작성되기 시작한 2004년 이후 가장 높았다. 전국의 주택구입부담지수는 2021년 4분기(83.5) 사상 처음으로 80을 돌파하면서 이전 최고치였던 2008년 2분기(76.2)를 뛰어넘었다. 이어 지난해 1분기 84.6, 2분기 84.9에 이어 3분기 89.3까지 네 분기 연속 사상 최고를 경신했다. 주담대 상환으로 가구소득의 약 25%를 부담하면 주택구입부담지수는 100으로 산출된다.

지역별로는 서울이 214.6으로, 2분기(204.0) 대비 10.6포인트 상승하면서 역시 사상 최고를 기록했다. 서울의 중간소득 가구가 중간가격 주택을 구입할 경우 소득의 절반이 넘는 54%를 주담대 원리금 상환으로 부담해야 한다는 의미다. 통상 서울의 경우 주택부담지수 130∼140(소득에서 주담대 상환 비중 33∼35%)선을 주택구매가 가능한 적정 수준으로 평가하고 있다. 세종과 경기가 각각 134.6과 120.5로 2, 3위를 차지했다. 이어 인천(98.9), 제주(90.9) 등이 100에 근접했고, 부산(88.1), 대전(86.6), 대구(80.6), 광주(66.4) 등의 순이었다. 금융권 관계자는 “서울을 포함한 전국 주택구입부담지수가 사상 최고치를 경신한 것은 지난해 하반기 이후 본격화된 주택가격 하락에도 불구하고 한국은행 기준금리 인상으로 주담대 상환 부담이 커지고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고금리 상황 장기화에다 경기 불확실성 고조로 제2금융권도 허리띠를 졸라매고 있다. 여파는 신용도가 낮아 1금융권에서 대출을 받기 어려운 금융취약층에 쏠리고 있는 상황이다. 삼성·국민·현대·롯데·우리 등 주요 카드사들은 최근 일부 회원들에 한도 하향 조정을 통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카드사들이 정확한 수치를 공개하고 있지는 않지만 금융권에서는 예년보다 많은 수의 회원이 큰 폭의 한도 하향 조정 통보를 받았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카드사들은 지난해 10월 이후 레고랜드발 자금시장 경색으로 유동성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태다. 카드·캐피털사 신용대출 평균 금리가 지난해 11월 들어 15%대(15.65%)로 오르자 업계 안팎에선 카드사들이 의도적으로 대출 수요를 줄이는 ‘디마케팅’에 나섰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기자 프로필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경제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