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하이닉스가 올해 영업적자 1조7천920억원을 기록해 4개 분기 연속 적자를 기록했습니다. 다만, D램이 2개 분기만에 흑자로 전환했습니다.
SK하이닉스는 오늘(26일) 올해 3분기 실적발표회에서 매출 9조662억원, 영업손실 1조7천920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습니다.
SK하이닉스는 D램과 낸드 모두 판매량이 늘어났고 D램 평균판매가격(ASP) 상승하면서 2개 분기만에 흑자로 돌아섰다고 분석했습니다.
제품별로 보면, D램은 인공지능(AI) 등 고성능 서버용 제품 판매 호조에 힘입어 2분기 대비 출하량이 약 20% 늘어났고, ASP 또한 약 10% 상승했습니다.
낸드도 고용량 모바일 제품과 SSD(Solid State Drive) 중심으로 출하량이 늘었습니다.
흑자로 돌아선 D램은 생성형 AI 붐과 함께 시황이 지속해서 호전될 전망입니다.
SK하이닉스는 "고성능 메모리 제품을 중심으로 시장 수요가 증가하면서 회사 경영실적은 지난 1분기를 저점으로 지속적으로 개선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적자가 이어지고 있는 낸드도 시황이 나아지는 조짐이 서서히 나타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올 하반기 메모리 공급사들의 감산 효과가 가시화되는 가운데 재고가 줄어든 고객 중심으로 메모리 구매 수요가 창출되고 있으며 제품 가격도 안정세에 접어들고 있습니다.
이런 흐름에 맞춰 SK하이닉스는 고대역폭메모리(HBM)과 DDR5, LPDDR5 등 고부가 주력제품에 대한 투자를 늘리기로 했습니다.
회사는 D램 10나노 4세대(1a)와 5세대(1b) 중심으로 공정을 전환하는 한편, HBM과 패키징 기술에 대한 투자를 확대한다는 계획입니다.
김우현 SK하이닉스 부사장(CFO)은 "앞으로 HBM, DDR5 등 당사가 글로벌 수위를 점한 제품들을 통해 기존과는 다른 새로운 시장을 창출해낼 것이며, 고성능 프리미엄 메모리 1등 공급자로서의 입지를 지속 강화해 나가겠다"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