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6당과 차별화? 개혁신당 "尹 인사실패 맞지만 8·15 경축식 참석"

입력
수정2024.08.11. 오후 7:12
기사원문
한기호 기자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김형석 독립기념관장 임명철회 요구한 민주당 등 6당 광복절 경축식 불참 예고

개혁신당 "광복절 보이콧? 투쟁방식 재고를…尹 논란인사 임명철회로 책임져"

민주 "임명 강행시 광복회따라 행사 불참"…與 "역사적 행사, 공당 의무 다해야"


개혁신당 초대 대표인 이준석 의원이 지난 7월28일 오후 국회 본회의에서 '방송4법' 중 방송문화진흥회법에 대한 무제한토론을 하고 있다.<연합뉴스 사진>
더불어민주당·조국혁신당 등 6개 정당이 정부가 주최하는 8·15 광복절 경축식 불참을 예고했는데, 개혁신당은 참석으로 가닥을 잡았다.

'이승만·김구 국부론'을 펼쳐온 우파 역사학자 김형석 독립기념관장 임명 철회를 요구하는 점은 7당이 같지만, 개혁신당은 광복절 취지에 맞는 행보를 하겠단 입장이다. 국민의힘에서 분리된 개혁신당은 앞서 '야7당'이 주도한 방송3법 대오에 함께했지만, MBC 관할인 방송문화진흥회법 개정안과 노란봉투법(노동조합법 제2·3조 개정안) 등 야권 단독처리엔 반대하며 차별성을 드러낸 바 있다.

김성열 개혁신당 수석대변인은 11일 당 출입기자단에 "개혁신당은 (진보진영) 야6당의 불참여부와 관계없이 이번 광복절 경축식에 허은아 대표가 참석할 예정"이라고 공지했다. 그는 "독립기념관장 및 뉴라이트 계열 인사의 부적절성과는 별개로 일제로부터의 광복과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법통을 계승한 정부수립을 경축하는 국가행사의 의미를 존중하고자 한다"고 알렸다.

김민규 대변인도 "민주당이 오는 광복절 경축식 행사에 참석하지 않을 것이란 관계자 전언이 화제다. 전날 공식적으로 불참 입장을 밝힌 조국혁신당과 진보당, 새롭게 최종 불참 결정을 한 새로운미래와 사회민주당에 이어 제1야당인 민주당도 광복절 행사를 보이콧 할 방침"이라며 "실패한 인사와 별개로 광복절 행사 자체를 보이콧하는 투쟁방식은 재고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왜곡된 사관으로 국민 분열을 초래하는 김형석 독립기념관장 임명은 명백히 '잘못된 인사'다. 사실과 다른 역사적 주장을 서슴지 않고, 지나치게 편향적인 이념적 잣대로 우리 역사를 제단하려는 시도는 지탄받아 마땅하다. 윤석열 대통령은 김 관장의 임명을 원점에서 다시 검토한다"면서도 "가장 의미가 큰 국가 행사에 불참하는 건 그릇된 투쟁방식"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민주당을 비롯한 야6당에 촉구한다. '광복 79주년만에 다시 갈라지는 대한민국'이라는 오명을 벗을 수 있도록 협조해달라. 정부의 막장 인사에 더 생산적이고 장기적인 견제 방식을 함께 모색해보자. '해방의 기쁨'을 축하하는 자리를 지켜 국회의 본연의 임무에 충실하게 임해달라"며 윤 대통령에겐 "논란 인사 임명 철회야말로 책임지는 모습의 시작"이라고 주장했다.

한편 민주당·혁신당·진보당·새미래·사회민주당·기본소득당 등 6당은 광복절 경축식 불참을 검토 중이다. 강유정 민주당 원내대변인은 이날 "윤 대통령이 (김 관장) 임명을 고집한다면 민주당은 광복회 뜻을 존중해 광복절 경축식에 불참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오는 14일 당 '역사정의특별위원회와 행동포럼' 규탄대회가 예고되기도 했다. 혁신당과 진보당은 지난 9일 불참 입장을 정했다.

이 가운데 국민의힘도 한지아 수석대변인을 통해 "광복절은 대한민국 주권 회복 역사를 기념하고 나라를 위해 헌신하신 독립운동가들의 고귀한 정신을 기리는 날이다. 국민 모두가 함께 기념하고 그 의미를 되새겨야 할 날에, 민주당은 역사적 행사 참석에도 조건을 걸었다"며 "광복절 경축식이 국민통합과 화합의 자리가 될 수 있도록, 민주당은 이제라도 공당으로서 역사적 의무를 다해달라"고 촉구했다.

기자 프로필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정치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
댓글

디지털타임스 댓글 정책에 따라 디지털타임스에서 제공하는 정치섹션 기사의 본문 하단에는 댓글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