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S직원 1080명 “무능에 편파, 사장·이사진 총사퇴하라”

입력
기사원문
김명진 기자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TV 수신료 분리 징수 문제와 관련해 20일 KBS 직원 1080명이 김의철 KBS 사장과 이사진의 총사퇴를 촉구하는 성명을 냈다.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 한국방송(KBS) 사옥. /한국방송

‘새로운 KBS를 위한 KBS 직원과 현업방송인 공동투쟁위원회(이하 새KBS공투위)’는 이날 “현재 KBS의 위기는 현 경영진의 편파방송과 무능경영에서 비롯된 것으로 이들의 퇴진 없이는 현재의 위기를 극복할 수 없다”고 밝혔다. 새KBS공투위는 KBS 직원 1080명이 김 사장과 이사진 퇴진을 요구하는 성명에 서명했다고 전했다.

새KBS공투위는 “수신료 분리 징수를 위한 시행령 개정 작업이 급박하게 진행되고 있다. 공영방송 KBS의 목숨이 경각에 달렸다. 비상한 결단, 과감한 행동이 없이는 이 위기를 극복할 수 없다”며 “이에 우리는 김 사장 퇴진과 이사진의 총사퇴를 강력히 촉구한다”고 했다.

새KBS공투위는 “김 사장은 경영자로서 무능했고, 편파 방송을 멈추지 않았다. KBS의 곳간은 비었고 곰팡내로 넘쳐나게 됐다”며 “무엇보다 그는 현재의 KBS 위기를 해결할 자격과 능력이 없다. 위기의 원인을 제공한 자가 어떻게 위기를 해결할 수 있단 말인가”라고 했다.

새KBS공투위는 “이 모든 잘못의 최종 책임은 KBS의 최고 의사결정기구인 이사회에 있다”며 “이들은 김의철의 불공정 방송과 무능 경영을 견제하지 못하고 오히려 은폐 방치했다. 당연히 총사퇴로 책임을 져야 한다”고 했다.

새KBS공투위는 “우리는 그동안 국민들을 실망시킨 KBS의 부끄러운 모습에 대해 국민에게 사죄하고, 공정방송에 관한 긴급한 조치들을 취하고, 편성과 경영을 비상하게 변화시킬 것”이라면서 “이 모든 노력의 첫 단추는 사장 퇴진 및 이사진 총사퇴다. 이들의 퇴진 없이는 어떤 문제도 해결할 수 없다”고 했다.

새KBS공투위는 KBS의 노동조합 3곳 가운데 보수 성향으로 분류되는 ‘KBS 노동조합’과 ‘대한민국 언론인 총연합회(언총)’ 소속 KBS 직원들이 구성한 단체다. 현재 KBS 사측과 교섭하는 대표노동조합은 이들 단체가 아닌 민주노총 산하 언론노조 KBS본부다.

기자 프로필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생활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