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 파병’ 北 사상자 수 3000여명 넘은 것으로 추산”
“北 파병 소식 확산…'대포밥’ 두려움 토로”
“파병 군인 가족에 물질적 보상 제공 정황”
국가정보원은 러시아에 파병된 북한군 사상자 수가 3000여명(사망 300여명, 부상 2700여명)을 넘어선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고 13일 국회에 보고했다. 또 북한 당국이 북한군에 생포 이전 자폭·자결을 강요하는 메모도 발견됐다고 전했다.
국회 정보위원회 여야 간사는 이날 오전 전체회의를 열고 국정원으로부터 이같이 보고 받았다고 전했다.
국정원은 “러시아 파병 북한군의 교전 참여 지역이 쿠르스크 전역으로 확대되고 있다”며 “북한군 피해 규모가 사망이 300여명, 부상이 2700여명으로 사상자 수가 3000여명을 넘어선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고 보고했다고 여당 간사인 이성권 국민의힘 의원이 전했다.
국정원은 또 사상자가 대규모로 발생한 이유에 대해 “무의미한 원거리 드론 조준 사격, 후방 화력 지원이 없는 돌격 전술 등 현대전에 대한 이해 부족과 러시아 측의 북한군 활용 방식이 결과적으로 대규모 사상자 발생의 주요 원인이 됐다”고 분석했다. 최근 입수한 북한군 전투 영상을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한 것이다.
특히 국정원은 “전사자 소지 메모에서 북한 당국이 생포 이전에 자폭과 자결을 강요하는 내용이 있다”며 “또한 병사들은 막연하게 노동당 입당, 사면을 기대하는 사실도 메모에 기재돼 있는 것으로 발견됐다”고 보고했다.
이와 관련해 최근 북한군 병사 1명이 우크라이나 군에 포획될 위기에 놓이자 ‘김정은 장군’을 외치며 수류탄을 꺼내서 자폭을 시도하다 사살된 사례도 확인됐다고 이 의원은 전했다.
이와 함께 국정원은 우크라이나 정보 당국과의 공조를 통해 최근 우크라이나 당국에 생포된 북한군 포로 2명은 정찰총국 소속인 점을 확인했다. 또 북한 당국이 파병 급여에 대한 약속 없이 ‘영웅으로 대우한다’는 공지를 받았다는 포로들의 진술도 파악했다.
포로 북한군의 향후 귀순 가능성에 대해 이 의원은 “그 포로가 한국으로 가겠다는 입장 표명을 한 것은 없다”며 “국정원은 북한군도 헌법적 가치를 봤을 때 우리나라 국민에 포함되기 때문에 포로가 된 북한군의 의사가 가장 중요하다는 관점에 입각해서 귀순 요청을 하면 우크라이나와 적극적으로 협의하겠다는 입장을 갖고 있다”고 했다.
이와 관련, 앞서 지난 12일(현지시각)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엑스(X·옛 트위터)을 통해 북한군 2명 생포 사실을 공개하며 러시아에 억류된 우크라이나 전쟁 포로와 북한 군인 교환을 추진할 수 있다는 뜻을 밝혔다.
북한군 파병 소식에 대한 북한 내부 동요도 파악된다고 한다. 국정원은 “북한 내부의 파병 소식이 암암리에 확산 중인 가운데 파병군 가족들은 ‘노예병, 대포밥’이라는 자조와 걱정과 두려움을 토로하고 있다”며 “반면에 직접적인 이해관계가 없는 사람들은 러시아로부터의 지원과 민생 개선을 기대하는 상반된 반응이 관찰되고 있다. 북한 당국은 파병군 가족에게 식량·생활필수품 등 물직적인 보상을 제공한 정황도 포착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