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O 철회한 케이뱅크의 진짜 문제 '금리 장사'

입력
기사원문
강서구 기자
TALK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투자심리 위축 상장 추진 철회
신용대출 금리 가장 높은 수준
인터넷전문은행 설립 취지 흔들
대출금리 오르자 연체율 껑충
올해 IPO 시장의 대어로 불렸던 케이뱅크가 사실상 상장 철회를 선언했다. 케이뱅크가 가파른 성장곡선을 그려온 만큼 시장의 아쉬움도 크다. 하지만 케이뱅크가 IPO의 꿈을 접는 덴 그럴 만한 이유가 있었다. 그중엔 금리 장사 논란과 부실 우려가 숨어 있다. 

케이뱅크가 지난 2일 기업공개(IPO) 시점을 연기하겠다고 밝혔다.[사진=연합뉴스] 


우려가 현실이 됐다. 기업공개(IPO)에 힘을 쏟아오던 케이뱅크가 상장 잠정 연기를 발표했다. 케이뱅크는 지난 2일 발표한 보도자료를 통해 "지난해 9월 20일 코스피 상장 예비심사를 통과한 후, 적절한 상장 시기를 검토해 왔다"며 "하지만 대내외 환경으로 인한 투자심리 위축 등의 상황을 감안해 상장 예비심사 효력 인정 기한 내에 상장을 추진하지 않기로 했다"고 밝혔다. 사실상 상장 철회를 공식화한 셈이다. 

케이뱅크의 IPO 철회를 둘러싼 시장의 평가는 엇갈렸다. IPO 철회를 부정적으로 평가한 쪽도 있지만, 무리한 상장보단 추후를 노리는 게 낫다는 의견도 많았다. 일리가 없는 얘긴 아니다. 지금의 국내 증시 상황은 카카오뱅크가 상장했던 2021년과는 완전히 다르다. 

당시엔 코스피지수가 3200포인트대를 웃돌 정도로 활황이었다. 기준금리 인상 국면인 지금은 그렇지 않다. 코스피지수는 지난해 말 2236.40포인트로 하락했고, IPO 시장도 냉랭하기만 하다. 지난해 현대오일뱅크·CJ올리브영을 시작으로 올해 컬리까지 상장 철회를 선언한 기업이 줄을 잇고 있다. 

케이뱅크가 상장에 나선 배경엔 가파른 성장세가 있었다. 케이뱅크는 2021년 흑자전환(당기순이익 225억원)에 성공한 이후 실적 증가세를 이어갔다. 지난해 3분기 누적 당기순이익은 714억원으로 전년 동기(84억원)의 8.5배로 증가했다.

2021년 12월 700만명을 돌파했던 고객은 지난해 9월 801만명으로 늘어났다. 총여신 규모는 2021년 3분기 6조1833억원에서 지난해 3분기 9조7783억원으로 58.0% 증가했다. 

하지만 이런 고성장을 두곤 다양한 의견이 쏟아진다. 그중엔 성장세가 대출금리 장사에 열을 올린 결과물이란 부정적 평가도 있다. 공교롭게도 이런 평가는 케이뱅크의 '부실 우려'를 부채질하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하나씩 살펴보자. 

■ 논란➊ 금리장사 = 그럼 케이뱅크의 대출금리는 얼마나 높은 걸까. 은행연합회에 따르면, 케이뱅크의 신용대출 금리는 지난해 7월 5.19%(이하 서민금융 제외)에서 12월 8.16%로 2.97%포인트 상승했다. 

국내 5대 시중은행(KB국민은행·신한은행·하나은행·우리은행·NH농협은행)의 평균(1.82%)은 물론 카카오뱅크(2.69%포인트)와 토스뱅크(1.57%포인트)보다도 높은 상승률이다. 특히 고신용자(신용점수 951~1000점)의 대출금리가 크게 뛰었다.

[사진=뉴시스] 


케이뱅크의 고신용자 대출금리는 지난해 7월 4.41%에서 12월 7.45%로 3.04%포인트 상승했다. 이는 5대 시중은행과 인터넷전문은행 3곳의 평균 금리 상승률 1.82%포인트보다 훨씬 높은 수준이다. 

고신용자를 발판으로 '금리 장사'를 하는 것 아니냐는 비판이 일자 케이뱅크는 중·저신용자 대출을 확대하고 고신용자 대출을 줄이기 위해 금리를 조정했다고 밝혔지만 정말 그랬는지는 의문이다. 

케이뱅크가 되레 지난해 10월 이후 신용점수 650점 이하의 저신용자 대출을 중단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대출금리는 계속 상승했다. 지난해 9월 7.9%에 불과했던 대출금리 9% 이상 신용대출 비중이 12월 20.3%로 두배 이상 높아졌다. 

케이뱅크 관계자는 "건전성 등 다양한 사안 때문에 저신용자 대출 취급을 중단했다"며 "대신 6% 이상 금리 구간에 해당하는 중신용 차주를 적극적으로 취급했다"고 밝혔다. 그는 "올 1월 신용대출 금리를 낮췄고, 저신용자 대출도 재개했다"며 "최근에는 3%대 금리의 아파트담보대출 선보이는 등 금리를 떨어뜨리고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대출금리 상승세의 영향으로 지난해 11월 이후 고신용자의 신용대출 금리도 6% 이상으로 높아졌다는 걸 감안하면 설득력이 떨어진다. 비용을 줄여 낮은 금리를 제공하겠다던 인터넷전문은행의 설립 취지가 온데간데없이 사라진 셈이다. 

■ 논란➋ 부실 우려 = 공교롭게도 케이뱅크의 '금리장사' 논란은 부실 우려로 이어지고 있다. 대출을 공격적으로 확대하면서 연체율 등 건전성 지표가 악화하고 있어서다. 케이뱅크의 지난해 3분기 고정이하여신(부실채권)은 747억원으로 전년 동기(304억원) 대비 443억원 늘었다.

그 결과, 고정이하여신비율도 0.49%에서 0.76%로 0.27%포인트 상승했다. 같은 기간 5대 시중은행의 고정이하여신비율이 0.26%에서 0.21%로 떨어진 것과는 대조적이다. 당연히 연체율도 치솟고 있다. 케이뱅크의 지난해 3분기 연체율은 0.67%로 시중은행 가계대출 연체율 평균인 0.19% 3.5배 이상 웃돌았다. 

문제는 최근 은행권의 연체율이 꿈틀거린다는 점이다. 5대 시중은행의 가계대출 연체율 평균은 지난해 9월 0.16%에서 12월 0.19%로 0.03%포인트 상승했다. 경기침체와 대출금리 상승 여파가 본격화하고 있다는 걸 감안하면 연체율은 더 오를 공산이 크다. 이는 연체율의 덫에 걸린 케이뱅크엔 달가운 소식이 아니다. 



심각한 점은 또 있다. 대출 확대의 영향으로 국제결제은행(BIS) 보통주자본 비율이 2021년 3분기 19.19%에서 지난해 9월 13.46%로 크게 떨어진 건 고민거리다. 보통주자본 비율은 은행의 보통주자본을 위험가중자산으로 나눈 값으로 비율이 높을수록 건전성이 양호하다. 이런 보통주자본비율이 가파르게 하락했다는 건 케이뱅크의 건전성이 악화하고 있다는 뜻이다. 

은행 전체 평균인 12.26%보단 높은 수준이지만, 관건은 속도다. 2021년 3분기에서 지난해 3분기 시중은행의 BIS 보통주자본 비율이 1.14%포인트(13.34%→12.26 %) 떨어질 때, 케이뱅크는 5.73%포인트나 악화했다.

은행업계 관계자는 "2021년 케이뱅크를 비롯한 인터넷전문은행은 2023년까지 중·저신용자 대출 비중을 30% 이상으로 확대하겠다는 계획을 금융당국에 제출했다"며 "케이뱅크의 중·저신용자 대출 비중이 24. 7%(지난해 9월 기준)라는 걸 감안하면 5.3%포인트 이상 높여야 한다"고 말했다.

그의 주장을 더 들어보자. "문제는 케이뱅크가 목표치를 맞추기 위해선 중·저신용자 대출을 가파르게 늘려야 하는데 그 과정에서 연체율이 높아지는 등 건전성이 악화할 가능성이 높다는 점이다. 리스크 관리를 어떻게 하느냐가 성장은 물론 IPO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건이 될 수 있다." 케이뱅크는 성장성을 유지하면서 대출금리 논란과 건전성 우려를 해소할 수 있을까. 

강서구 더스쿠프 기자
ksg@thescoop.co.kr

기자 프로필

TALK

응원의 한마디! 힘이 됩니다!

응원
구독자 0
응원수 0

안녕하세요. 시사경제주간지 더스쿠프 강서구 기자입니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경제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