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물관리 국토부로 환원하고 4대강 보 재건 모색해야

입력
기사원문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윤석열 대통령이 최근 수십 명의 인명 피해가 발생한 수해 사태와 관련해 한화진 환경부 장관에게 “물 관리 업무를 제대로 하라”고 경고했다고 한다. 그제 비공개 국무회의에서 “환경 보호도 중요하지만, 국민의 생명과 안전이 더 중요하다”면서 질타한 것으로 알려졌다. 충북 오송 지하차도 침수 참사의 1차 원인이 미호강 관리 실패에 있다는 점에서 한 장관으로서는 입이 열 개라도 할 말이 없을 것이다. 미호강 교량 확장 공사를 위해 제방을 허물고 급히 복구하는 과정에서의 관련 기관 간 잘잘못을 떠나 치수권은 환경부에 있다.

환경 보호 중심의 업무를 하는 환경부가 물 관리까지 하는 게 옳은지 의구심을 갖지 않을 수 없다. 수량조차 제대로 관리하지 못하는데, 수질을 책임지는 부처라고 해서 물 관리를 전담하는 게 적절하냐는 지적이 나올 만하기 때문이다. 이번 폭우 사태는 하천 관리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일깨웠다. 윤 대통령도 한 장관에게 “물 관리를 제대로 못할 것 같으면 국토교통부로 다시 넘기라”고 했다는 얘기까지 들린다. 하천 관리를 위해선 준설 공사 등이 필요한 만큼 환경부가 아니라 국토부가 치수권을 행사하는 게 옳다.

물 관리 환경부 이양은 2018년 문재인정부가 밀어붙인 정책이다. 과거 30여년간 수질 관리는 환경부, 수량 관리는 국토부로 나뉘어 있다 보니 물 관리 일원화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됐던 건 사실이다. 문재인정부는 댐 건설과 수자원 관리 같은 기능만이라도 국토부에 남겨 둬야 한다는 야당과 전문가들 주장을 묵살한 채 4대강 재자연화, 수생태계 보존 등을 명분으로 규제와 개발을 모두 환경부로 넘겨 버렸다. ‘4대강 적폐 사업’ 추진 부처로 몰린 국토부는 아무런 목소리조차 낼 수 없었다.

우리 사회를 뒤덮은 ‘4대강 트라우마’ 탓에 하천 관리에 허점이 적지 않았다. 4대강이라면 알레르기 반응부터 보인 더불어민주당과 환경단체들은 ‘녹조라떼’를 들먹이면서 보 해체를 이끌어 냈다. 그런데 문재인정부에서 김은경 전 환경부 장관이 보 해체·개방 결정을 이끈 4대강 조사·평가기획위원회 구성에 부당하게 개입했다는 감사원 감사 결과가 금명간 발표된다고 한다. 4대강 사업의 긍정적인 효과에는 눈감은 채 생태계 복원에만 열중한 것이 최근 수해 사태의 원인으로 작용하지 않았는지 의문이다. 이제라도 4대강 물그릇을 키워 가뭄을 극복하고 홍수를 예방해야 한다. 해체한 4대강 보 재건을 검토하고 지류·지천 정비 작업도 서두를 필요가 있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오피니언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