콜린 크룩스 대사 “英, 6·25전쟁 8만명 참전…멀지만 파병은 의무”

입력
수정2023.06.25. 오후 5:42
기사원문
김수현 기자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콜린 크룩스 주한 영국대사가 22일 오전 서울 중구 주한영국대사관에서 동아일보와 인터뷰하고 있다. 안철민기자 acm08@donga.com

“6·25전쟁은 더 이상 잊혀질 수 없는 전쟁입니다.”

22일 서울 중구 주한 영국대사관에서 만난 콜린 크룩스 영국대사(54)는 정전 70주년을 앞두고 최근 영국에서 활발하게 진행되는 6·25전쟁 기념사업과 관련해 한국 정부에 감사의 뜻을 표했다. 영국 수도 런던 템즈강과 국방부 건물 중간에는 2014년 한국 정부가 선물한 6·25전쟁 기념비가 서있다. 다음달 런던 왕실 근위기병대 연병장 호스가드광장에서 참전용사 등 2000여 명이 참석하는 정전 70주년 행사가 열린다.

한때 영국에서 6·25전쟁은 잊혀진 전쟁으로 인식됐다. 제2차 세계대전에 승리했지만 전쟁 피해는 여전했음에도 영국 정부는 파병을 결정했다. 클레멘트 애틀리 당시 총리는 한국이 너무 멀리 떨어져 있다는 내각 반대파에게 “멀다. 하지만 그럼에도 (파병은) 의무”라며 확고한 의지를 보였다고 한다. 1953년 정전 이후 귀국한 참전용사들은 경제 위기 등 불안정한 국내 상황과 마주했다.

크룩스 대사는 참전 배경에 대해 “자유, 민주주의, 인간에 대한 가치를 수호하기 위한 것”라며 “지금 한국과 영국은 어깨를 나란히 하며 이런 가치를 함께 지키고 있다. 이것이 바로 70년 전 영국이 수호하려고 한 것”이라고 말했다.

콜린스 대사는 한국에 부임하기 직전인 2018년부터 2021년까지 평양에서도 대사로 일했다. 세계 외교관 가운데 한국과 북한에서 모두 대사 경험이 있는 사람은 그가 유일하다고 한다. 그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으로 인한 북한 국경 폐쇄 직전) 북한에 가장 마지막까지 남은 영국인”이라고 스스로를 소개하기도 했다.

서울과 평양의 차이점을 묻는 질문에 콜린스 대사는 “서울은 자유롭고 활기찬 반면 평양은 엄격하고 규율 잡힌 모습”이라며 “오랜 분단에도 양쪽은 유머, 가족에 대한 사랑 같은 일정 부분 공통점이 있다”고 말했다.

영국은 6·25전쟁에서 미국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은 8만1084명을 파병해 1106명이 전사했다. 현재 영국에는 6·25전쟁 참전용사 600~700명이 생존한 것으로 추산된다.

기자 프로필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정치, 사회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