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정수석실 부활 곧 발표… 수석 김주현·박찬호 검토

입력
수정2024.05.01. 오전 6:11
기사원문
김동하 기자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권익환 등도 후보군에 포함

김주현(63·사법연수원 18기) 전 법무차관(왼쪽)과 박찬호(58·사법연수원 26기) 전 광주지검장./연합뉴스

대통령실이 민정수석 신설 등을 담은 대통령실 직제 개편안을 5월 초 발표할 것으로 30일 알려졌다. 신임 민정수석에는 김주현(63·사법연수원 18기) 전 법무차관과 함께 박찬호(58·사법연수원 26기) 전 광주지검장 등이 유력 검토되고 있다.

김 전 차관은 박근혜 정부 때 법무 차관과 대검 차장을 지냈다. 박 전 지검장은 윤석열 대통령이 검찰총장일 때 대검 공공수사부장을 지냈다. 이들 외에 권익환(57·사법연수원 22기) 전 서울남부지검장 등도 후보군에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여권 관계자는 “후보군 중 일부는 고사하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신설되는 민정수석실에는 민심 관련 정보를 수집·분석하는 민정비서관을 둘 예정이다. 윤 대통령은 지난 대선 때 사정(司正) 기관 장악, 민간인 사찰 등 과거 정부 시절 민정수석실의 폐단을 지적하며 폐지를 공약했고, 집권하자 실제로 민정수석실을 두지 않았다. 이번에도 민정수석실을 되살리면서 사정 관련 기능은 뺄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경찰에 대한 장악력을 강화하려 한다는 의구심을 불식하겠다는 뜻으로 보인다. 이런 차원에서 대통령실 일각에선 직명(職名)을 ‘법률수석’ 등으로 하는 방안도 거론했지만, 민심 정보를 대통령에게 보고한다는 취지에 맞춰 민정수석으로 하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

윤 대통령은 이재명 민주당 대표와의 회담에서도 민정수석 신설 필요성을 언급했다. 윤 대통령은 “국정 운영을 하다 보니 민심 정보와 정책이 현장에서 이뤄질 때 문제점과 개선점을 파악하는 데 필요한 정보가 부족한 것 같다”며 “김대중 정부 때도 민정수석을 없앴다가 2년 뒤 다시 만들었는데 왜 그런 판단을 했는지 이해가 가는 면이 있다”고 했다. 민정수석 신설에 앞서 양해를 구한 것이란 해석이 나온다.

기자 프로필

정치부에서 용산 대통령실을 출입하고 있습니다. '질문은 그를 귀찮게 해' 등의 책을 냈습니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정치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