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해저 6000m 희토류 채굴…수백년치 매장 추정

입력
수정2023.10.22. 오후 7:09
기사원문
김소연 기자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중국 의존 낮추기
일본 정부가 도쿄에서 남동쪽으로 1900km 떨어진 미나미토리섬(사진) 주변 해저에 매장된 희토류 채굴에 나설 예정이다. 위키피디아 갈무리


일본 정부가 내년부터 도쿄에서 남동쪽으로 1900㎞ 떨어진 미나미토리섬 주변 해저에 매장된 희토류 채굴 준비에 나설 예정인 것으로 전해졌다. 전기차·스마트폰 등 첨단 산업의 주요 원료로 사용되는 희토류의 과도한 중국 의존을 낮추기 위해서다.

산케이신문은 22일 복수의 일본 정부 관계자를 인용해 “정부가 내년에 희토류 시굴 작업을 시작하는 방향으로 조정에 들어갔다. 경제대책이 담기는 올해 추가경정예산안에 관련 경비를 배정할 예정”이라고 보도했다.

일본 도쿄대·와세다대 등으로 이뤄진 연구팀은 2018년 미나미토리섬 주변 수심 약 6000m 해저에 희토류 1600여만t이 매장돼 있다고 밝혔다. 전 세계에서 수백년 동안 사용할 수 있을 정도의 양이다.

일본 정부는 내년 준비 작업을 거쳐 2025년 1~3월 시굴 개시를 계획하고 있다. 지난해 이바라키현 앞바다 수심 약 2470m 해저에서 진흙 회수에 성공한 적이 있는데, 이 기술을 응용할 방침이다. 시굴에는 지구의 깊은 곳을 탐사하는 일본 국립연구개발법인 해양연구개발기구(JAMSTEC)의 탐사선 ‘지큐’가 활용된다. 지큐호에서 수심 약 6000m 해저까지 관을 늘려 하루 70여t의 진흙을 끌어 올린다는 생각이다. 해저에서 작업하기 위한 수중드론(ROV) 제작비용으로 올해 추경안에 20억엔(약 180억원)을 포함할 예정이다.

일본은 희토류를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으며, 이 가운데 중국산이 60%를 차지하고 있다. 지난 2010년 센카쿠열도(중국명 댜오위다오) 영유권 분쟁으로 인한 중-일 갈등 뒤, 중국은 일본에 대한 희토류 수출을 제한한 바 있다. 일본은 이때문에 한동안 어려움을 겪었고, 이후 희토류 중국 의존도를 낮추는 방안을 찾고 있다. 산케이신문은 “최근 중국 정부는 갈등이 발생하는 국가를 상대로 수출입 규제를 비롯해 경제적 위압을 가하고 있다”며 “시굴에 성공하면 희토류 자체 조달에 한 발 내딛게 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기자 프로필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세계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