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또 3등은 세금 내지 마세요”…복권당첨금 200만원까지 비과세

입력
기사원문
윤형준 기자
TALK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연금복권 3·4등도 해당
개인정보 제공도 생략


서울 종로구의 한 유명 복권방에 1·2등 당첨자 현수막이 걸려있다. [연합뉴스]
올해부터 정부가 세금을 부과하는 복권 당첨금 기준이 5만원에서 200만원으로 대폭 올라간다.

기획재정부는 3일 소득세법 개정에 따라 올해부터 복권 당첨금 비과세 기준선이 이처럼 상향조정된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대개 100만원 남짓을 받는 로또복권 3등 15만명은 과세 대상에서 비과세로 전환된다. 통상 10억원 이상을 받는 로또 1등, 수천만원을 수령하는 로또 2등은 여전히 과세 대상이다.

연금복권 3·4등 2만8000명도 과세 대상에서 비과세로 전환된다. 로또복권과 연금복권을 합칠 경우 연간 18만명 이상이 세금을 내지 않고 당첨금을 수령하게 된다.

과세 대상에서 제외될 경우 개인정보 제공 절차도 없어진다. 과세 대상인 경우 당첨금 수령에 앞서 주민등록번호 등 정보를 제공(지급명세서 작성)해야 하지만, 과세 대상이 아니라면 이런 절차가 필요 없는 것이다.

200만원까지 당첨금을 받는 사람들은 은행을 방문해 신원만 확인되면 곧바로 당첨금을 수령할 수 있다.

비과세 기준선을 상향 조정하는 소득세법 개정은 올해 1월 1일부터 시행되고 있다. 지난해에 복권이 당첨됐어도 올해 1월 1일 이후 청구했다면 새로운 비과세 기준선을 적용받게 된다.

기재부는 “복권 당첨금 수령이 편리해짐에 따라 올해부터는 당첨 후 1년간 찾아가지 않는 500억원 안팎의 미수령 당첨금도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기자 프로필

TALK

유익하고 소중한 제보를 기다려요!

제보
구독자 0
응원수 0

독자분들의 제보는 언제나 환영입니다 yoonbro@edaily.co.kr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경제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