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유권해석 실무진 판단으로 하기로 했잖나”...전현희, 간부들 질책

입력
수정2022.11.25. 오후 2:41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감사원 수사 요청서에 드러나
감사원은 지난달 직권남용 및 감사 방해 혐의 등으로 전현희 국민권익위원장을 대검에 수사 요청했다. 직권남용 혐의 중엔 전 위원장이 2020년 권익위가 추미애 당시 법무부 장관에게 유리한 유권해석을 내리도록 압력을 넣었다는 내용이 포함돼 있다. 그런데 감사원 수사 요청서엔 전 위원장이 실무진에게 자신이 이 유권해석에 개입하지 않았다고 외부에 답해야 한다고 압박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는 정황이 들어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전현희 국민권익위원장이 23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제2차 청렴사회민관협의회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연합뉴스

권익위는 2020년 9월 “추미애 법무부 장관의 직무와 (현재 진행 중인) 그의 아들(군 휴가 미복귀 의혹)에 대한 검찰 수사는 이해 충돌로 보기 어렵다”는 유권해석을 발표했다. 검찰이 자신의 아들을 수사하는 상황에서 추 장관이 검찰을 지휘·감독하는 법무장관직에 있어선 안 된다는 비판을 누그러뜨리는 내용이었다. 이를 두고 전 위원장이 이 유권해석에 개입한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자, 그해 9~10월 전 위원장은 국회에 두 차례 나와 “전혀 개입한 바 없다” “실무진 판단”이라고 답했다. 국민의힘은 “직원들 보기에 부끄럽지도 않으냐”며 의문을 제기한 바 있다.

그런데 법조계 등에 따르면, 감사원 수사 요청서엔 전 위원장이 그해 9~10월 국회에 출석해 이 같은 답변을 하고 난 당일, 권익위 간부들과 가진 식사 자리 얘기가 나온다고 한다. 전 위원장이 이 자리에서 “국회에서 내 얘기가 왜 나오느냐” “(이번 유권해석은) 실무진 판단으로 (대응)하기로 하지 않았느냐”며 앞에 놓인 미역국을 숟가락으로 내리쳤다는 것이다. 권익위 간부들이 ‘실무진 판단’이라고 외부에 적극 대응하지 않은 것을 질책했다는 뜻이다. 감사원은 전 위원장이 자기 개입 사실을 감추려 이런 행동을 했다고 보고 있다. 감사원 판단이 사실로 드러난다면 전 위원장은 국회에서 위증을 한 셈이다.

전 위원장은 대변인을 통해 “그런 사실이 없다”고 했다. 권익위 관계자는 “다수 간부들도 그런 일이 없었다고 한다”며 “당시 전 위원장과 함께 국회를 찾은 권익위 직원이 10여 명인데 그 많은 사람 앞에서 그런 민감한 발언을 했겠느냐”고 말했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사회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