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친윤’ 이용, ‘김건희 논란’ “민주당, 사과하면 들개처럼 물어뜯을 것”

입력
수정2024.01.21. 오후 5:16
기사원문
구자창 기자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이용 국민의힘 의원. 뉴시스

친윤(친윤석열)계 초선인 이용 국민의힘 의원이 국민의힘 의원들의 단체 채팅방에 김건희 여사의 명품가방 수수 의혹에 대해 사과해서는 안 된다는 내용의 글을 올린 사실이 21일 확인됐다.

이 의원은 올린 글에서 “(여권이) 사과를 하는 순간 민주당은 들개들처럼 물어뜯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 의원은 또 “박근혜 대통령도 사과해서 범죄가 기정사실화되고 탄핵까지 당한 것”이라며 “침묵도 사과의 한 방법”이라고 강조했다.

이 의원은 20일 국민의힘 의원들의 단체 텔레그램방에 김 여사의 명품가방 수수 의혹과 관련된 글을 올렸다.

이 의원은 이 유튜브 채널 내용을 소개하면서 “최근 여권 내부에서도 제기되고 있는 김건희 여사 명품백 관련 ‘사과’ 이슈에 대해 설득력 있는 ‘사과 불가론’을 제기해 큰 호응을 얻고 있음”이라고 설명했다.

이 의원은 한 유튜브 채널의 내용을 인용하는 방식을 취하면서 ‘사과 불가론’ 주장을 전한 것이다.

이 의원은 글에서 “김경율 (비대위원)과 한동훈 (비대위원장) 발언은 비슷해 보이나 온도차가 있다”고 전제한 뒤 “김경율은 ‘사과하지 않으면 수도권 선거 전패한다’에 초점, 한동훈은 ‘국민 걱정할 부분이 있으므로 제2부속실과 특별감찰관 신설’을 주장”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 의원은 특히 “김정숙 > 김혜경 > 김건희 순 죄질이 큼”이라고 강조했다.

문재인 전 대통령의 부인 김정숙 여사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부인인 김혜경 여사의 의혹이 김건희 여사의 의혹보다 잘못이 크다는 주장이다.

이 의원은 “김정숙, 김혜경은 국고를 축낸 인물”이라며 “김정숙은 앙코르와트 관광, 온갖 명품옷과 백, 악세사리, 한복 등 특활비 썼으며, 김혜경은 남편 법인카드와 도지사 사무실 음식을 축냄”이라고 지적했다.

이 의원은 그러면서 “문재인과 이재명 모두 배우자에 대해 사과하지 않았고, 선거를 망치지도 않음”이라고 쓴 뒤 “그런데 왜 FL(김건희 여사 지칭·영부인(First Lady)의 약어)에게 사과를 요구하나”라고 반문했다.

이 의원은 또 “FL(김건희 여사)이 사과하면, 수도권에서 지지율이 올라가나”라고 되물은 뒤 “사과를 하든, 안하든 지지율은 올라가지 않으며, 사과를 하는 순간 민주당은 들개들처럼 물어뜯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 의원은 그러면서 “특히 (민주당은) 사과의 진정성이 없다며 매도하고 남편이 책임지라는 수순으로 이어질 것이 자명”이라고 지적했다.

이 의원은 국민의힘 내부에서 명품가방 수수 의혹과 관련해 사과 필요성을 처음 제기하고 공론화한 김경율 비대위원에 대해 “김경율은 이론적 투사에 불과, 실전적 투사 아니기에 그저 앉아서 한 생각에 지나지 않음”이라고 평가했다.

이 의원은 특히 “사과하면 선거 망치는 길이며, 이런 마타도어에 속으면 안 됨”이라고 강조했다.

이 의원은 “FL(김건희 여사)이 파우치 받은 걸 다 알고, 국민의힘 예비후보로 나서놓고 이제와서 FL 때문에 선거 망칠 것 같다는 주장은 앞뒤가 맞지 않음”이라며 “사과와 용서, 관용은 정상적인 사람과의 관계에서 하는 것이며, 좌파들은 정상적인 사람이 아님”이라고 주장했다.

이 의원은 이날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이 사건의 본질은 최모 목사가 작고한 김 여사 부친과의 친분을 이용해 ‘함정 취재’를 한 것”이라며 “김 여사는 오히려 피해자”라고 강조했다.

이 의원은 이어 “사과하면 민주당이 ‘그럼 이제 됐다’고 할 일은 없을 것”이라며 “사과하는 게 오히려 총선 악재를 가져올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 의원은 ‘대통령실과의 교감 여부’에는 “저는 지난 대선 당시 수행실장으로 윤 대통령을 1년 동안 모셨다”며 “어렵게 정권교체를 이뤘으니 대통령실에 힘을 실어줘야 하지 않나”고 에둘러 답했다.

기자 프로필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정치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