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J·노무현 뒷조사' 간부‥"예산 유용 정황"

입력
수정2024.10.29. 오전 9:24
기사원문
나세웅 기자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뉴스투데이]
◀ 앵커 ▶

국정원 실세로 꼽히는 고위 간부가 1년 5개월간 대북 공작비를 1억 원 넘게 유용한 정황이 내부 감사에서 포착됐습니다.

과거에도 정치 공작에 공작금을 유용했다가 처벌받은 전력이 있는데, 현 정부에서 국정원에 복귀한 뒤 실세로 꼽혀왔습니다.

나세웅 기자입니다.

◀ 리포트 ▶

국가정보원은 지난 5월부터 대대적인 내부 감사에 착수했습니다.

국회 정보위원회 박선원 위원은 "'한 달 여의 내부 감사과정에서, 전임 김규현 원장 시절 김 모 특별보좌관이 대북공작 예산을 유용한 정황이 포착됐다'"는 복수의 내부 제보를 접수했다"고 밝혔습니다.

원장 직속인 김 특보가, 직접 지휘 대상도 아닌 대북공작국에, 추가 활동비를 지급하라고 요구했고, 이에 따라 대북공작국 예산에서 따로 가져다 썼다는 겁니다.

공작비 유용은 매달 8백만 원에서 1천만 원, 1년 5개월간 이뤄진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대북공작국 실무진은 감사에 대비해 마치 정상적인 업무에 쓴 것처럼 '이중 장부'를 써 뒀던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박선원/국회 정보위원회]
"제가 (국정원) 특보를 2년 가까이 했었습니다. 일체 이런 일이 있을 수가 없습니다. 수사 의뢰까지 가야 될 상황이죠."

이명박 정부 원세훈 국정원장 시절 대북공작국장이었던 김 특보는, 당시 김대중·노무현 전 대통령 뒤를 캐는 정치 공작에 각각 대북 공작금 5억여 원과 9만 5천 달러를 무단으로 쓴 혐의로 기소돼, 재작년 1월, 징역 6개월형이 확정됐습니다.

현 정부 들어 국정원에 차관보급으로 복귀해 핵심 실세로 꼽혀 온 김 특보는, 작년 11월 정년 퇴임했습니다.

국정원은 감사 결과에 대해 수사 의뢰 등 추가조치에 나서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국정원은 MBC 취재진의 모든 질의에 대해 "확인해 줄 수 없다"고만 답했습니다.

MBC뉴스 나세웅입니다.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mbcjebo@mbc.co.kr
▷ 카카오톡 @mbc제보

기자 프로필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정치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