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산 180조원 中금융사도 위기… “시진핑에 끔찍한 시간”

입력
수정2024.01.04. 오후 2:48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美·中 난기류 만난 한국 경제

15일 중국 최대 민간 부동산 개발 업체 비구이위안의 베이징 통저우구 아파트 건설 현장 앞에서 시민들이 천막농성을 벌이고 있다./베이징=이벌찬 특파원

한국의 최대 교역 상대국인 중국은 수출·소비·투자 등 기초 경제 체력이 약해진 데다 국내총생산(GDP)의 25%를 차지하는 부동산 시장이 흔들리고 있다. 그런데 불똥은 금융시장으로 옮겨 붙는 모습이다.

17일 블룸버그 등 외신들은 “1조위안(약 180조원) 이상을 굴리는 자산운용사 중즈(中植)그룹이 투자자들에게 ‘회사가 유동성 위기에 직면해 있으며 부채 구조조정을 실시할 것’이라고 공지를 했다”고 보도했다. 이 회사는 세계 최대 사모펀드인 블랙스톤의 ‘중국 버전’으로 불릴 정도로 중국 내 인지도가 높고, 부동산 신탁회사를 자회사로 두며 부동산 부문 투자에 집중했다. 블룸버그는 “중즈그룹은 현재 거의 모든 상품에 대한 상환을 중단했다. 투자자 자금을 상환하기 위해 부채를 재조정하고 자산을 매각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설상가상으로 미국 국채 금리는 치솟고 있다.(채권값 하락) 그만큼 미국 경제가 좋다는 방증이지만, 다른 한편으론 우리나라 같은 신흥시장에서 외국인 자금이 빠져나갈 유인이 된다는 뜻이기도 하다.

16일(현지 시각) 미 국채 10년물 금리는 15년 만에 최고치(연 4.258%)로 치솟았다. 이날 공개된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의 7월 회의록에 따르면 위원 대부분이 물가 상승(인플레이션)과 싸움이 아직 끝나지 않았으며 추가 금리 인상이 필요할 수 있다는 입장을 보였다.

중국, 1경5300조원 그림자 금융 위기

2021년 헝다(恒大)와 지난달 완다(萬達)에 이어 이달 초부터 비구이위안(碧桂園), 위안양(遠洋) 등 대형 부동산 개발업체들이 각각 300억원 안팎의 채무 상환에 실패(디폴트)하며 중국 부동산 시장은 급속히 얼어붙고 있다.

14일 중즈그룹의 계열사인 중룽(中融) 국제신탁은 9000만위안(약 165억원) 규모의 투자 상품 상환에 실패했다. 그러자 투자자 20여 명이 베이징 본사 앞까지 몰려가 ‘돈을 돌려달라’며 시위를 벌였다.

중국 부동산 투자는 규제를 받지 않아 불투명하고 부도 위험이 큰 그림자 금융 형태로 많이 이뤄졌다. 현대경제연구원에 따르면 중국 그림자 금융 규모는 2011년 6011억달러(약 807조원)에서 10년 만인 2021년 11조4209억달러(약 1경5300억조원)로 20배 가까이 폭증했다.

미국 월가 투자회사들도 중국 부동산 부실을 피하지 못했다. 비구이위안 채권을 많이 보유한 JP모간·피델리티 등 10개 투자사들은 17억6230만달러(약 2조3600억원)를 투자한 것으로 집계됐다.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은 16일 51조원 규모의 유동성을 단기금융시장에 투입하는 한편 자산운용사에 주식 순매도 금지령을 내리며 시장 불안 차단에 나섰다. 하지만 그 효과는 미지수라고 보는 전문가들이 많다. 블룸버그는 “그림자 금융으로 (위험이) 전이되는 것은 시진핑에게 끔찍한 시간”이라고 했다.



그래픽=양진경

美 금리 상승에 외국인 한국 이탈 가능성

최근 미국 경제는 탄탄한 고용에 ‘골디락스(너무 뜨겁지도 차갑지도 않은 이상적인 경제 상황)’란 말까지 나온다. 성장률은 2분기(4~6월) 2.4%(전기 대비 연율)를 기록한 데 이어, 3분기엔 5.8%까지 뛰어오를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실업률은 지난달 3.5%로 사실상 완전고용에 가깝다.

글로벌 신용평가사 피치가 최근 미국 신용등급을 AAA에서 AA+로 한단계 내리긴 했지만, 이미 S&P가 2011년 내린 것을 반복한 것이라 충격은 아니라는 평가다.

경기가 좋다 보니 미국의 기준금리는 연 5.5%(상단 기준)에서 내려올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 이는 2001년 이후 22년 만에 최고 수준이다. 미국과 한국(3.5%)의 기준금리 차이도 역대 최대인 2%포인트까지 벌어졌다. 미국의 고금리를 노려 한국에서 외국인 자금이 빠져나갈 수 있다는 뜻이다.

래리 서머스 전 미 재무 장관은 “현재 장기 국채금리가 정점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며 “향후 10년간 국채 10년물 금리가 평균 연 4.75% 정도를 보이거나 그 이상으로 높아질 수 있다”고 했다. 현재 수준보다 더 오를 수 있다는 말이다.

안동현 서울대 교수는 “미국 고금리 상황이 지속되며 한국 경제에 먹구름이 끼고 있다”고 말했다.

기자 프로필

기재부, 국세청, 공정위, 통계청, 농식품부 등 경제 정책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경제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