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맥스-큐텐재팬 'K뷰티 유니콘' 20개 육성

입력
수정2025.03.14. 오후 7:40
기사원문
이선아 기자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K뷰티 메가 콘퍼런스 개최

구자현 대표 "유니콘 20사 포함
120개 브랜드 30조원 규모로"

'ODM 1위' 코스맥스와 동맹
美 아마존·中 알리도 '러브콜'
일본 뷰티 e커머스 1위 업체 큐텐재팬이 글로벌 화장품 제조업자개발생산(ODM) 1위 코스맥스와 손잡고 기업가치 1조원 규모의 ‘K뷰티 유니콘 육성’에 나선다. 향후 3년 내 기업가치가 1000억엔(약 9800억원), 100억엔(약 980억원)인 브랜드를 각각 20개, 100개 만들겠다는 청사진을 공개했다. 총 120개 브랜드를 30조원 규모로 키우겠다는 계획이다. 앞서 미국 아마존, 중국 알리익스프레스도 국내 뷰티 브랜드에 ‘러브콜’을 보내는 등 K뷰티를 둘러싼 글로벌 e커머스의 유치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구자현 이베이재팬 대표는 14일 서울 삼성동 그랜드인터컨티넨탈서울파르나스에서 열린 ‘2025 큐텐재팬 K뷰티 메가콘퍼런스’에서 “최근 K뷰티 성장세와 기업 인수합병(M&A) 규모 등을 감안하면 1조원 가치의 브랜드가 충분히 나올 수 있을 것”이라며 이런 계획을 공개했다. 이베이재팬이 운영하는 플랫폼 큐텐재팬은 회원이 2500만 명에 달한다. 세계 3위 뷰티 시장인 일본에서 라쿠텐(17%), 아마존(6%) 등을 누르고 온라인 뷰티 구매 점유율 1위(25%·2023년 기준)를 차지했다.

이베이재팬은 ‘K뷰티 유니콘’을 키우기 위한 매출 규모별 맞춤형 지원책을 공개했다. 첫해인 올해 500개 브랜드 중 유망한 200개를 선정해 1년간 단계별로 지원하는 게 핵심이다. 상품기획자(MD)가 1 대 1로 코칭해주고, 회당 거래액(GMV)이 5000억원에 달하는 큐텐재팬의 메인 행사 ‘메가와리’에서도 이들 브랜드를 별도 카테고리로 관리할 예정이다. 단순히 브랜드를 입점시키는 것을 넘어 직접 메가브랜드로 키우는 ‘길잡이’ 역할을 하겠다는 것이다.

이날 행사에선 K뷰티를 향한 높은 관심을 보여주듯 일본 바이어와 미디어가 다수 참석했다. 일본 10~20대 사이에서 아누아, 티르티르 등 인디 K뷰티 브랜드의 인기가 높아져 지난해 한국은 일본의 화장품 수입국 1위를 차지했다. 구 대표는 “큐텐재팬에서도 K뷰티는 연평균 성장률이 64%에 이를 정도로 핵심 성장동력으로 자리 잡았다”고 했다.큐텐재팬은 이번 행사를 ‘K뷰티 열풍의 주역’인 코스맥스와 공동 주최했다. 이날 연사로 직접 나선 이경수 코스맥스 회장은 “최근 뷰티 시장에서는 소비자가 원하는 ‘바로 그 제품’을 누가 가장 빨리, 좋은 가격에 공급하는지가 관건”이라며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력과 글로벌 공급망을 갖춘 코스맥스가 그 역할을 하겠다”고 강조했다. 코스맥스는 향후 이베이재팬과 현지 기후, 인구, 트렌드에 맞춘 K뷰티 성장 세부 전략을 함께 수립하기로 했다.

한국 ODM과 뷰티 브랜드에 러브콜을 보내는 것은 큐텐재팬뿐만이 아니다. 지난해 글로벌 1위 플랫폼 아마존은 한국콜마와 손잡고 서울에서 ‘아마존 K뷰티 콘퍼런스 셀러데이’를 열었다. 내수에만 머물던 인디 K뷰티를 발굴해 세계적 브랜드로 키우는 ‘프로젝트 K뷰티 고 빅(Go Big)’을 진행 중이다. 중국 알리바바도 ‘입점 수수료 제로’라는 파격 혜택을 내걸고 K뷰티 모시기에 들어갔다.

강지철 베인앤드컴퍼니 시니어 파트너는 “K뷰티 인기가 높은 것은 단순히 ‘K’(한국산)라서가 아니라, 기성 브랜드에는 없는 ‘빠르고 트렌디한’ 속성 때문”이라며 “K뷰티 열풍이 일시적인 유행에 그치지 않고 계속될 것”으로 전망했다.

기자 프로필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경제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