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드메' 비용 공개 추진…예비부부 울리는 폭리 행위도 엄단을 [사설]

입력
기사원문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정부가 혼인을 앞둔 예비부부의 부담을 키우는 결혼 서비스에 대한 실태 조사에 착수했다. 정부는 한 달 전 '청년 친화 서비스 발전 방안' 중 하나로 결혼 서비스 업체에 '가격표시제' 도입 의사를 밝혔는데 연구용역을 통해 구체적인 시행 방법을 찾는다고 한다. 부풀려진 예식장과 일명 '스드메(스튜디오·드레스·메이크업)' 비용을 공개함으로써 업체 간 가격 경쟁을 유도할 수 있어 긍정적이다. 과도한 비용 때문에 혼인을 망설이는 국민을 위해서라도 조속히 시행돼야 한다. 차제에 가격 공개에 그치지 말고 지나친 폭리를 취하는 불공정행위에는 제재 조치가 뒤따라야 한다. "축복받는 결혼에 그 정도 비용은 기본"이라며 과소비를 부추기는 상술에 대해서는 가격 공개를 넘어 단속이 필요하다.

그동안 업체들은 결혼 서비스 가격 공개를 꺼려왔다. 2020년 기준 홈페이지에 세부 가격을 표시한 예식장은 8.0%에 그쳤다. 소비자의 44.6%는 스드메 비용 정보가 부족하다고 했다. 그러다 보니 고가 논란뿐만 아니라 추가 요금 지불 등 소비자 피해 사례가 빈번하다.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예식장 대여와 스드메에 수백~수천만 원을 쓰는 게 맞는지 묻는 글들이 많다. 한 결혼정보 업체가 혼인 5년 차 이하를 설문한 결과 주거를 뺀 결혼 평균 비용은 6300만원에 달했다. 이쯤 되면 '웨딩플레이션(웨딩+인플레이션)'이라는 신조어가 생긴 것도 당연하다.

혼인율을 높이기 위해서라도 가격 공개는 필요하다. 통계청에 따르면 2021년 혼인 건수는 19만3000건으로 20만건 밑으로 내려온 뒤 작년까지 3년 연속 19만건에 머물고 있다. 인구 감소 대응의 일환으로 혼인을 장려하는 것도 정부 역할이다. 비용 때문에 결혼을 망설이고 출생 감소로 이어진다면 국가적 비극이다. 가격 공개가 혼인 비용 부담을 넘어 저출생까지 줄일 수 있다면 의미가 크다. 자율적 가격 공개 외에 폭리 추구나 가격 담합 같은 불공정에 대해선 제재도 해야 한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오피니언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