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안동시청 공무원노조 전공노 탈퇴, 정치화된 민노총의 자업자득

입력
기사원문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안동시청 공무원노동조합이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과 산하 전국공무원노동조합에서 탈퇴하기로 결정했다. 1천300여 명의 조합원을 가진 안동시청 공무원노조는 상급 노동단체 탈퇴를 묻는 조합원 찬반 투표를 실시, 85% 찬성률로 탈퇴를 결정했다.

약 15만 명의 조합원을 가진 전공노는 민노총의 주요 조직 중 하나다. 하지만 '윤석열 정권 퇴진'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 파면' 등 정치투쟁에 치중하고, 친북 논란이 있는 이석기 전 의원 석방 투쟁을 벌이면서 공직사회의 전공노 탈퇴 움직임이 확산하고 있다. 지난 2021년 강원 원주시청 공무원노조가 전공노를 탈퇴했다. 경북 지역 소방관노조 1천여 명 중 800여 명도 노조 탈퇴 의사를 밝혔다.

안동시청 공무원노조가 전공노 탈퇴 투표를 추진하는 과정에서 전공노는 안동시청 노조 지부장의 권한을 정지하고, 안동시청에서 집회를 여는 등 방해했다. 2021년 탈퇴한 원주시 공무원노조에 대한 전공노의 소송은 2년째 계속되고 있다. 몇 달 전 포스코노조의 민노총(금속노조) 탈퇴 투표 당시 민노총은 포스코노조 집행부와 대의원들에게 제명 처분을 내려 총회 소집권을 상실케 하는 등 탈퇴를 방해했다.

민노총은 노조 지회 간부를 제명하거나 총회를 방해하는 방법으로 지회들의 탈퇴를 막을 수 있다는 생각을 버려야 한다. 노조 지회들이 민노총을 탈퇴하는 것은 민노총이 조합비만 챙길 뿐 조합원의 권익은 뒷전이고 정치투쟁에 집중하는 행태를 보이기 때문이다. 여기에 '깜깜이 회계' 문제로 도덕성마저 타격을 입었다. 안동시청 노조 역시 전공노 탈퇴 주요 이유를 "전공노의 잦은 정치적 투쟁, 상하부 조직 간 소통 부재, 무리한 분담금 부담 등"이라고 밝혔다. 민노총이 자기 조직을 지키고 싶다면 정치투쟁과 기득권 챙기기를 버리고, 노동자의 권익과 복지 향상에 힘쓰는 상식적이고 투명한 조직으로 거듭나야 한다. 오죽하면 "우리는 민노총의 ATM(현금자동인출기)이 아니다. 민노총의 동원 부대가 아니다"는 말까지 나오겠는가.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오피니언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