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원전 1호 국가' 이탈리아, 원전 부활 시동 걸었다

입력
수정2023.09.21. 오후 11:00
기사원문
신창용 기자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친원전 정부, 원전 복귀 로드맵 7개월 이내에 발표키로

'지속 가능한 원자력을 위한 국가 플랫폼' 회의
[이탈리아 안사(ANSA) 통신 캡처. 재판매 및 DB 금지]


(로마=연합뉴스) 신창용 특파원 = 세계 최초의 '탈원전' 국가로 꼽히는 이탈리아가 다시 원전으로 복귀하고 있다.

이탈리아 환경 및 에너지안보부가 21일(현지시간) '지속 가능한 원자력을 위한 국가 플랫폼'의 첫 번째 회의를 열었다고 안사(ANSA) 통신 등이 보도했다.

환경 및 에너지안보부는 회의를 마친 뒤 이탈리아가 원자력 에너지 사용으로 돌아갈 수 있는 로드맵을 7개월 이내에 발표할 것이라고 밝혔다.

지난해 10월 집권한 친원전 정부가 원자력 에너지를 다시 도입하기 위해 본격적으로 시동을 건 것이다.

이탈리아는 1986년 우크라이나 체르노빌 원전 사고가 터지자 국민투표를 거쳐 '탈원전'을 결정했다.

1987년 11월 8∼9일 이틀간에 걸쳐 진행된 국민투표에선 국민 80%가 탈원전을 지지했다.

당시 운영되던 원전 4기는 즉각 가동이 중단됐고 1990년 마지막 원자로가 폐쇄됐다. 이탈리아는 세계 최초의 탈원전 국가로도 종종 언급된다.

2000년대 들어 지구온난화 대응을 위해 깨끗하고 환경친화적인 에너지원으로 원전의 필요성이 다시 부각됐다.

여론도 호의적으로 바뀌면서 정부 차원에서 원전 정책의 방향 전환을 추진했으나 2011년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 여파로 없던 일이 됐다.

원전 재추진과 관련한 두 번째 국민투표 역시 반대표가 90% 이상으로 압도적으로 높았다.

이후에도 원전 금지 조치를 재고해야 한다는 요구는 꾸준히 이어졌다. 변곡점이 된 것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이었다.

전쟁으로 불거진 에너지 수급 위기를 겪은 이후 에너지 안보를 확보하기 위해 원전을 다시 도입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졌다.

마테오 살비니 부총리 겸 인프라 교통부 장관은 "이탈리아는 시간을 낭비할 수 없다"며 "원자력을 통한 깨끗하고 안전한 에너지 생산으로 돌아가는 것은 향후 몇 년 동안 분명한 목표가 돼야 한다"고 말했다.

질베르토 피케토 프라틴 환경 및 에너지안보부 장관은 이탈리아가 대규모 3세대 원전을 건설할 것이라며 여기에는 의심의 여지가 없다고 말했다.

그는 "소형 모듈형 원자로(SMR)와 4세대 AMR 원자로와 같은 혁신적인 원자력 기술 도입을 고려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날 회의가 열린 로마의 환경 및 에너지안보부 청사 밖에서는 원자력 발전으로의 복귀에 반대하는 시위가 벌어졌다.

시위대는 '핵은 우리를 구할 수 없다. 이 시스템에서 플러그를 뽑자!', '핵은 재앙을 보장한다'고 적힌 현수막을 들고 반대 구호를 외쳤다.

changyong@yna.co.kr

기자 프로필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세계, 경제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