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분 진료' 과장 아니었네…환자 55%, '5분미만' 진료

입력
수정2024.07.24. 오전 7:08
기사원문
송태희 기자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지난해 외래진료를 받은 환자의 절반 이상은 의사에게서 진료를 받는 시간이 5분이 채 되지 않은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환자들은 접수 후 평균 18분 가량을 기다렸다가 8분간 진료를 받았습니다. 
   
24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보건복지부의 의뢰로 실시한 '2023 의료서비스 경험조사' 결과에 따르면 작년 7월24일~9월22일 가구방문 방식으로 1만4천91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외래서비스를 받은 응답자의 55.0%가 의사의 진료시간이 5분 미만이라고 답했습니다. 
   
4~5분인 경우가 37.4%로 가장 많았고, 1~3분이라는 응답도 17.6%나 됐습니다. 턱없이 짧은 진료시간을 지적할 때 흔히 쓰는 '3분 진료'라는 표현이 과장이 아니었던 것입니다. 

외래진료 환자의 28.3%는 진료 시간이 6~10분이었고, 11~30분 진료했다는 응답은 16.0% 뿐이었습니다. 전체 응답자의 평균 외래진료 시간은 8.0분이었습니다. 
   
환자가 외래진료를 받기 위해 접수한 뒤 기다린 시간은 평균 17.9분이었습니다. 평균적으로 외래 환자가 17.9분을 기다려 8분간 진료를 받은 셈입니다. 
   
대기 시간이 10분 미만인 경우는 외래환자의 16.7%였고, 37.8%는 10~20분 미만, 26.3%는 20~30분 미만이라고 답했습니다. 30분 이상 대기한 경우는 19.2%였습니다. 

응답자의 76.7%는 한국의 보건의료제도를 신뢰한다고 답했고, 75.8%는 만족한다고 밝혔습니다. 

당신의 제보가 뉴스로 만들어집니다.SBS Biz는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리고 있습니다.홈페이지 = https://url.kr/9pghjn

기자 프로필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생활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