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일 박현주 회장 등 킥오프미팅 가져
주로 투자 초기 신약개발 기업에 투자
미래에셋캐피탈과 미래에셋자산운용는 지난해 조인트벤처 형식으로 미국 바이오 전문벤처 투자사 '미래에셋캐피탈 라이프사이언스'를 설립했다. 이 회사는 최근 5000만달러(660억원) 규모의 첫번째 펀드 투자자 모집을 끝내고 지난 16일 미국 뉴욕에서 '킥오프 미팅'을 가졌다. 이 자리에는 박 회장이 직접 참석했다.
미래에셋캐피탈 라이프사이언스는 미래에셋그룹이 미국에 세운 첫번째 바이오벤처다. 이제 막 발을 뗐음에도 박 회장이 직접 참석한 것 자체가 이 시장의 성장 가능성을 높이 평가하고 있다는 걸 의미한다.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피치북에 따르면 지난해 미국 벤처캐피탈이 모금한 금액은 670억달러(약 90조원)에 달했다. 코로나19가 진정세에 접어들며 2015년 이후 최저였음에도 여전히 막대한 돈이 바이오 분야에 투자되고 있는 것이다.
앞서 박 회장은 지난 2016년 향후 10년간 바이오·헬스케어 등 신성장동력 분야 벤처기업에 매년 1조원씩 총 10조원을 투자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미래에셋캐피탈 라이프사이언스가 올해 첫 테이프를 끊었다.
첫번째 모집한 5000만달러 가운데 25%는 캐피탈콜(출자 요청)을 끝내 펀드를 설정했다. 미래에셋캐피탈 라이프사이언스는 리드 투자자로 해당 금액을 곧 해외 바이오기업을 중심으로 투자할 계획이다.
주로 초기 투자단계에 있는 △종양학 △면역학 △심혈관·대사 △중추신경계·안과 △유전병 등 5개 치료부문 신약개발 기업이 대상이다. 향후 투자성과에 따라 추가적인 펀드 조성·운영 가능성이 열려있다.
국내 바이오시밀러 기업 셀트리온과 공동펀드 '미래에셋셀트리온신성장펀드'를 운영하면서 지난 2021년에는 ADC(항체-약물 접합체) 업체 '익수다'의 시리즈A 펀딩에 참여했다. 당시 미래에셋그룹과 셀트리온은 익수다의 지분 47.05%를 4700만달러(약 630억원)에 사들였다.
이밖에 미래에셋그룹은 해외 바이오기업 '아셀엑스', '비비디온테라퓨틱스', 'TCR2' 등에 투자해 성공적으로 엑시트한 경험이 있다. 미래에셋캐피탈 라이프사이언스는 올해 1분기 중 첫 번째 펀드의 투자 포트폴리오를 공개할 예정이다.
미래에셋그룹 관계자는 "생명공학, 바이오 섹터는 향후 인공지능(AI) 기술의 발달 등으로 큰 발전이 예상되는 분야"라며 "가장 큰 시장이 있는 미국 현지에서 미래에셋그룹의 벤처캐피탈(VC) 비즈니스를 확장시킬 계획"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