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산칼럼] 트럼프의 '러시안 커넥션'

입력
기사원문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美 대선 승리 가능성 큰 트럼프
세계가 그를 알려 애쓰는 상황서
주목할 건 푸틴과의 긴밀한 관계

우크라戰으로 러·북 밀착하면서
北 관련 돌발변수 우려 커
우리는 불확실성에 대비해야

복거일 사회평론가·소설가
도널드 트럼프 공화당 대통령 후보의 미국 대선 당선 가능성이 커지자, 모든 나라들이 그와 관계를 맺는 일로 고뇌한다. 미국 대통령은 자유 진영의 지도자이니 당연히 믿고 따라야 하는데, 트럼프는 믿고 따를 만한 인물이 못 된다.

트럼프는 타고난 ‘잡놈(rascal)’이라고 연전에 이코노미스트 특파원이 대표 칼럼에서 규정했다. 부동산 투자로 치부한 터라, 정치 지도자의 안목을 키울 기회도 적었다. 미국을 따라야 하는 자유주의 나라들로선 난감할 수밖에 없다. 오죽했으면, 그의 임기 동안 백악관에서 일했던 인사들을 뜻하는 ‘어른들의 축(axis of adults)’이 그나마 미국 정책을 이끌었다는 얘기가 나왔겠는가.

트럼프의 외교 철학을 이해하려 애쓰는 사람들에게 그의 안보보좌관을 지낸 존 볼턴은 “신경 쓰지 말라”고 조언한다고 한다. 트럼프에겐 일관된 원칙들이 없고 수시로 바뀌는 기분, 원한, 자신의 이미지에 대한 집착만이 있다는 얘기다.

물론 트럼프의 성향들 가운데 잘 알려진 것들도 있다. 그가 외교 관계를 상업 관계로 파악해서 이익을 남기는 거래를 추구한다는 것은 잘 알려졌다. 그는 특히 무역 수지에 마음을 많이 쓴다.

그런 개인적 성향들만으로 트럼프를 대할 수는 없으므로, 그의 비위를 잘 맞춰서 호의를 사려는 노력이 나온다. 그런 사람들이 주목하는 것은 아베 신조 전 일본 총리의 경험이다. 그는 트럼프의 비위를 맞추려고 무던히도 애썼고 쓸모 있어 보이는 요령들을 남겼다. 트럼프가 좋아하는 골프를 함께 치고 햄버거를 같이 먹고 일왕을 만나는 계기를 만들어 화려한 의식에 끌리는 트럼프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다고 한다.

그러나 트럼프를 이해하려는 사람들이 정작 주목해야 할 것은 그와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사이의 관계다. 둘 사이의 긴밀한 관계는 2016년의 대통령 선거에서 러시아가 트럼프 후보를 위해 대대적으로 개입한 정황이 드러나면서 주목을 받았다. 러시아의 개입에 힘입어, 열세였던 트럼프는 힐러리 클린턴 후보에게 이겼다.

트럼프는 2008년에 미국 저택을 러시아 부호에게 팔아 큰돈을 벌었다. 그 뒤로 그와 그의 측근들은 러시아 정보 요원들과 만나서 거래했다. 트럼프를 돕는 일은 처음엔 러시아 외무부가 맡았다가, 트럼프의 중요성이 커지면서 정보기관인 연방보안국(FSB)이 맡았고, 끝내는 정보기관 출신인 푸틴 자신이 챙겼다.

트럼프를 활용하기 위해, 러시아는 협박용 증거들(compromising material)을 확보했다. 가장 문제적인 것은 트럼프가 매춘부들을 사서 오바마 대통령 부부가 묵었던 호텔 침대를 더럽힌 일로, 그의 광기 어린 증오심을 보여준다. 여러 해에 걸친 난잡한 성적 행각도 러시아 정보기관에 의해 촬영됐다.

AP통신 기자가 “트럼프를 협박할 증거들을 가졌다는 것이 사실이냐”고 묻자, 푸틴은 부인하지 않았다. “당시 그는 민간인이었으므로, 누구도 그가 모스크바에 있다고 내게 보고하지 않았다”고 비켜 갔다.

트럼프에 관한 보고들을 모은 ‘스틸 문건(Steele dossier)’엔 “(트럼프의) 팀으로부터 나오는 높은 수준의 자발적 협력을 고려해서, 그에 관해 수집한 협박용 증거들을 압력 수단으로 삼지 않겠다고 크렘린이 트럼프에게 약속했다”는 구절이 있다. 실제로, 트럼프는 러시아에 기밀 서류들을 보여줬고, 러시아를 비난한 적이 없고, 우크라이나에 대한 지원에 반대해왔다. 지금 위기를 맞은 우크라이나에 무기들과 탄약을 보급하는 것을 공화당 의원들이 반대하는 상황도, 트럼프의 ‘러시안 커넥션’을 고려하지 않으면, 설명되지 않는다.

트럼프가 푸틴의 강력한 영향 아래 놓였다는 사정은 자유세계엔 실존적 위협이 될 수 있다. 우크라이나 전쟁을 계기로 러시아와 북한이 밀착한 터라, 우리에겐 특히 큰 위협이다. 트럼프가 집권한 뒤 우리가 걱정해야 할 위협은 미군 주둔 비용을 더 많이 부담하는 일처럼 합리적 접근이 가능한 문제들이 아니다. 우리는 트럼프와 북한 지도자가 만난 자리에서 날벼락 같은 사건이 터질 가능성에 대비해야 한다. 대비하기가 실질적으로 불가능한 사건들에 대비해야 하는 것이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오피니언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