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민 92% "마음건강케어사업 들어본 적 없다"

입력
수정2019.10.23. 오후 4:48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행정입원제도 81% "적절하다"…73% "정신병원 방문 안꺼려져"

(수원=연합뉴스) 김경태 기자 = 경기도가 정신질환자의 치료를 돕고자 올해부터 추진한 '마음건강케어 사업'에 대해 10명 중 9명꼴로 모른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경기도는 이달 12~13일 도민 1천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경기도 마음건강케어사업' 인식 관련 조사 결과를 23일 발표했다.

조사 결과, 응답자의 92%는 마음건강케어사업에 대해 '들어본 적이 없다'고 답한 반면 '들어본 적이 있다'고 답한 응답자는 8%에 불과했다.

경기도 마음건강케어사업 인지도[경기도 제공]


마음건강케어는 경기도가 올해 7월부터 전국 처음으로 시작한 정신질환 지원 사업이다.

경기도에 거주한 지 1년 이상 된 도민의 '정신건강의학과 초기진료비'를 최대 40만원까지 지원하고, 응급입원과 외래치료가 필요한 '중증정신질환자의 본인부담금' 전액을 지급한다. 정신질환자의 치료를 지속해서 돕고자 협력 의료기관 10곳에 정신건강 전문가 10명도 배치했다.

그러나 아직 시행 초기인데다 홍보도 부족해 신청자가 저조한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이번 조사 결과, 응답자의 67%는 마음건강케어사업을 '잘하고 있다'고 평가했으며, 직접 신청하거나 가족이나 지인을 추천할 의향에 대해 84%가 '그렇다'고 답했다.

정신건강복지법 보완 필요성 인식[경기도 제공]


아울러 중증정신질환자 관리 시스템 도입에 대해 93%가 필요하다고 했으며, 보호자나 행정기관이 의뢰하는 행정입원 제도에 대해 81%가 적절하다는 의견을 내놓았다.

이는 절대적 다수의 도민이 정신질환 문제에 대해 공공 차원의 적극적인 개입이 필요하다고 느끼는 것이라고 경기도는 해석했다.

중증정신질환자 인권 문제와 관련해서는 '인권 보호를 위한 까다로운 입원 절차'(28%) 보다 '신속한 입원 치료'(68%)가 더 중요하다는 응답 비율이 높았다.

정신질환 의료기관 방문 관련 인식[경기도 제공]


이 밖에 정신질환 의료기관 방문에 대해 '꺼려지지 않는다'(73%)는 응답이 '꺼려진다'(25%)는 응답보다 많았다.

꺼리는 이유로는 주변의 곱지 않은 시선(31%), 정신병원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19%), 치료 이력이 남아서(19%), 경제적 부담(11%), 정신질환을 인정하기 어려워(11%) 등을 꼽았다.

정신질환 치료 목적 병원 방문 꺼려지는 이유[경기도 제공]


이번 조사는 ㈜케이스탯리서치가 전화 면접 방식으로 진행했으며, 95% 신뢰수준에 표본오차는 ±3.1%p다.

ktkim@yna.co.kr

▶이 시각 연합뉴스 '핫뉴스'[클릭]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 ▶뭐 하고 놀까? #흥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사회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