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국민 안전 못 지키는 경찰…대수술 불가피

입력
수정2023.08.22. 오전 12:11
기사원문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경찰청 홈페이지 캡처.
간부는 넘치고 지구대·파출소 인력은 태부족
수사권 조정의 부작용 등 커져…보완책 시급
‘안전한 나라’를 자임해온 한국이 총체적 치안 위기에 빠졌다. 어제는 온라인 커뮤니티에 경찰 명의 계정의 칼부림 예고 글까지 올라왔다. 지난달 서울 신림역을 시작으로 성남 서현역 등지에서 흉기 난동이 잇따라 발생하면서 한국 사회가 ‘묻지마 범죄’에 무방비라는 사실이 드러났다. 윤희근 경찰청장은 “14만 경찰은 특단의 의지를 가지고 국민의 일상을 안전하게 지켜나가겠다”고 대국민 담화를 발표하면서 초유의 ‘흉기 난동 범죄 특별치안활동’까지 선포했다. 도심에 장갑차와 경찰 특공대를 배치했다.

그러나 지난 17일 신림동 공원 부근 등산로에서 최모(30)씨가 출근하던 교사를 호신용 기구인 ‘너클’로 잔인하게 살해하는 사건이 또 벌어졌다. 성폭행을 노린 살인 범죄다. 칼부림이 일어난 신림역에서 2㎞도 안 되는 거리다. 경찰은 무차별 살인 현장 인근에서 대낮에 벌어진 살인 범죄를 막지 못했다.

모든 범죄를 예방할 수는 없다. 그러나 일련의 범죄 원인을 분석하는 과정에서 경찰의 구조적 문제가 드러났다. 경찰청이 국민의힘 정우택 의원실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서울경찰청 소속 순경 정원은 9535명이지만, 현재 근무 인원은 절반 정도인 4909명에 불과하다. 현장 활동에 투입되는 경장과 경사도 정원을 못 채웠다. 치안 최일선인 지구대·파출소 인력 역시 크게 부족하다. 이에 비해 간부인 경감은 정원 2020명에 현재 인원은 5059명, 경위는 정원 3821명에 현 인원은 8456명에 이른다. 현장에서 발로 뛰는 경사 이하는 태부족인데 내근과 지휘를 하는 간부는 넘쳐나는 ‘직급 인플레’가 뚜렷하다. 기형적 구조를 방관해온 지휘부의 무책임을 탓하지 않을 수 없다. 문재인 정부의 무리한 검경 수사권 조정으로 치안 업무 등을 맡아온 경찰관이 수사 업무로 대거 옮겨간 것도 치안력 약화 요인으로 지목된다. 올 상반기에만 기동대 인원 1009명이 수사 부서로 배치됐다니 그만큼 치안에 허점이 커지는 셈이다.

윤석열 대통령은 어제 “‘묻지마 범죄’에 대해 치안 역량 강화를 포함한 근본적인 대책을 마련해 달라”고 말했다. 경찰의 치안 역량은 단기간에 끌어올리기 어렵다. 경찰은 지금부터라도 직급별 역할의 고정관념을 깨고 간부도 현장 대응에 적극적으로 나서는 변화를 추구해야 한다. 국민 안전이 무방비로 방치된 실태가 드러난 만큼 경찰 인력을 치안 중심으로 재배치하는 혁신에 나서야 한다.

당장은 CCTV를 증설하고 국민에게 범죄 사각지대 및 유사시 대처 요령 등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대비책을 제시해야 한다. 호신용 무기가 살인용으로 쓰이는 문제 등 신속히 답을 내놔야 할 숙제가 산적해 있다. 경찰청 홈페이지에 올린 ‘국민이 신뢰하는 안심 공동체’ 같은 뜬구름 잡는 얘기론 국민의 불신과 불안을 가라앉히지 못한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오피니언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