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포스코 수소환원제철 건립에 찬성 입장 밝힌 시민 단체

입력
기사원문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포항의 일부 시민 단체가 포항제철소 수소환원제철 사업을 지지했다. 환경단체와 주민들이 수소환원제철소 건립에 필요한 공유수면 매립을 반대하고 있는 가운데 나온 시민 단체의 이례적인 입장이다. 포스코는 공유수면 매립 추진을 위해 주민 설득에 나섰으나 지난 6월 주민 설명회가 무산되는 등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번 시민 단체의 지지 입장 표명은 수소환원제철소 건립에 우호적인 여론 형성에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지속가능한 사회를 위한 포항시민연대'와 '탄소중립실천 포항시민연대'는 29일 포항시청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2050 탄소중립'을 선언한 포스코의 친환경 미래 소재 전환과 친환경 사업을 위해 포항시가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두 단체는 수소환원제철 사업이 '탄소제로 포스코'를 만들어 기후 위기 시대에 철강산업을 지속시킬 수 있는 방안이 될 것으로 판단, 지지 입장을 표명한 것이다.

수소환원제철은 기존 화석연료(코크스) 대신 수소를 활용해 철을 생산한다. 이 방식은 전통적인 용광로 공정과 달리, 이산화탄소 대신 부산물로 물이 나오는 탄소중립 이행을 위한 필수 기술이다. 포스코는 2025년까지 수소환원제철 기술을 확보해, 2050년까지 탄소 기반 제철 설비를 모두 수소환원제철 방식으로 전환하기로 했다.

관건은 수소환원제철소 건립에 필요한 사업 부지 확보다. 포스코는 포항제철소 동쪽 공유수면(132만2천300여㎡)을 매립해 제철소를 건립할 계획이다. 하지만 환경단체 등이 반발하고 있다. 환경단체가 수소환원제철 전환 자체를 반대하는 것은 아니다. 바다 매립에 따른 생태계 훼손 등을 걱정하고 있는 것이다. 수소환원제철은 포항 경제와 철강산업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한 사업이다. 포스코와 포항시는 이를 지역사회에 널리 알려야 한다. 바다 매립에 따른 생태계 훼손 우려를 불식시킬 수 있는 방안을 찾아야 한다. 환경단체와 주민들도 수소환원제철이 기후 위기 극복의 현실적인 대안이란 점을 잘 인식해 주길 기대한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오피니언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