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인제 한숨 “민노총·전교조 간부 ‘간첩 활동’, 기절초풍 뉴스가 떠도…”

입력
수정2023.05.26. 오전 12:23
기사원문
권준영 기자
TALK new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정당 간부가 간첩이라면 정당 해산 사유가 된다”

“노동단체·교육단체의 간부가 ‘北 앞잡이’ 반(反) 국가 활동했다면, 온전할 수 없어”

“그런데 진보당과 민노총 그리고 전교조는 꿈쩍도 안 해…할 테면 해보라는 식”

“대부분 국민들도 불감증에 빠져있는 건 마찬가지”

“‘간첩사건’ 터져도 ‘빙산의 일각’ 드러났을 뿐이라 치부하는 게 우리 국민의 정서”


이인제 전 국회의원. <디지털타임스 DB>
이인제 전 국회의원이 최근 정치권을 뒤흔든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이하 민노총)과 전국교직원노동조합(이하 전교조) 간부의 간첩활동 논란을 언급하며 깊은 한숨을 내쉬었다.

이인제 전 의원은 26일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진보당 전 대표가 김정은에 충성을 맹세한 간첩이다! 민노총과 전교조 간부 또한 간첩 활동을 했다!"며 "이런 기절초풍할 뉴스가 떠도 충격을 받지 않는 세상이 됐다"고 운을 뗐다.

이 전 의원은 "오늘 아침 한 유력 보수 일간지에 이런 뉴스가 비중 있게 보도됐지만, 다른 유력 보수 일간지는 이런 뉴스를 아예 취급도 하지 않았다"며 "뉴스 가치가 없다고 생각했을까"라고 문제의식을 제기했다.

이어 "정당 간부가 간첩이라면 정당 해산 사유가 된다. 노동단체나 교육단체의 간부가 북의 앞잡이로 반(反) 국가 활동을 했다면, 그 단체 또한 온전할 수 없다"면서 "그런데 진보당과 민노총 그리고 전교조는 꿈쩍도 하지 않는다. 할 테면 해보라는 식"이라고 민노총과 전교조를 정조준했다.

그러면서 "대부분 국민들도 불감증에 빠져있는 것은 마찬가지"라며 "북을 추종하고 그들과 손잡은 간첩들이 우리 사회 각 분야에 뿌리를 내리고 있고 그 숫자는 작게는 5만명, 많게는 수십만명에 이른다고 믿기 때문이다. 간첩사건이 터져도 그저 빙산의 일각이 드러났을 뿐이라고 치부하는 것이 우리 국민의 정서"라고 지적했다.

이 전 의원은 "박헌영은 1925년 조선공산당을 창당했다. 1917년 10월 러시아에 일어난 볼셰비키혁명의 바람이 한반도에 상륙한 것"이라며 "그로부터 100년의 세월이 흐른 지금 우리는 아직도 그 철지난 이념의 악몽에 시달리고 있다"고 비판했다.

끝으로 그는 "이 땅의 보수세력은 현실을 직시해야 한다. 아무리 지구적 차원에서 다 끝난 이념전쟁이라도, 한반도 차원에서 얼음처럼 냉기를 뿜어내는 현실을 외면해서는 안 된다는 말"이라면서 "다시 신발 끈을 단단히 묶고 이념전쟁을 끝내야 할 것이다. 현 정부의 간첩 수사는 그 전쟁이 본격화됐다는 신호탄이다. 물러서지 말아야 한다"고 윤석열 정부에 쓴소리를 했다.
지난 23일 강원도 춘천시 전국교직원노동조합(이하 전교조) 강원지부 앞에서 전교조와 민주노총 등 사회 노동단체 관계자들이 압수수색을 규탄하는 구호를 외치고 있다. <연합뉴스>
정치권 및 교육계 등에 따르면, 전교조는 전날 서울 용산 대통령실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강원지부장 진모씨가 국가보안법 위반 혐의로 국가정보원의 압수수색을 당한 일에 대해 "노조 탄압 공안몰이"라며 "윤석열 정부는 위기 탈출을 위한 기획 수사로 민주노총과 건설노조에 이어 전교조를 표적 삼아 탄압하려 하고 있다"고 거세게 반발했다.

전교조는 "지금까지 정통성이 없는 정부가 들어설 때마다 그들은 자신들의 위기 돌파를 위해 국가보안법을 동원해 탄압했다"면서 "올바른 정책과 의견으로 대응해야 할 일을 적으로 규정하고 탄압하는 일이 21세기에도 계속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국가보안법은 '귀에 걸면 귀걸이 코에 걸면 코걸이'라는 수식어가 붙을 만큼 얼마든지 쉽게 기소할 수 있는 악법"이라며 "노조 파괴를 앞세운 반시대적인 음모와 공안몰이로 전교조 죽이기를 획책하는 정권에 당당하게 맞서겠다"고 말했다.

기자 프로필

TALK new

응원의 한마디! 힘이 됩니다!

응원
구독자 0
응원수 0

편집국 정치정책부 권준영입니다. 사진과 실물이 다소 차이가 날 수 있으니 주의하시길 바랍니다. '정치권 제보' 감사히 받겠습니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정치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
댓글

디지털타임스 댓글 정책에 따라 디지털타임스에서 제공하는 정치섹션 기사의 본문 하단에는 댓글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