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탐구주제 미리보기 -
* 고교학점제 교과 단원 연계 심화 확장 탐구 주제 지속 업데이트 중 ~!
* 제시된 주제는 의약계열, SKY 역대 합격자의 활동을 업그레이드 한 검증된 주제입니다.
단건 구매 이후 탐구주제 + 세특가이드 및 탐구 동기 + 탐구 자료를 모두 확인할 수 있습니다.
월 구독 서비스에 가입하면 세특구원자의 모든 콘텐츠를 자유롭게 이용가능합니다.
탐구 주제 |
접착 **단백질 ** 수용체인 ** 단백질과 ** 단백질을 통한 뇌질환 치료 가능성 탐구 | |
연계과목 or 진로 |
의대,치대,한의대,약대,수의대,생명계열 |
ㅇ 관련 키워드 : 수용체, 뇌질환
1) 수용체 : 세포막 또는 세포질에 존재하며, 세포밖에서의 물질 또는 물리적 자극을 인식하여 세포에 특정한 반응을 일으키는 구조체. 그 본체는 단백질이며, 특정물질을 인식하는 경우 특정한 부위에서 특이적으로 결합한다. 펩티드호르몬의 수용체는 세포막에 있고, 스테로이드호르몬의 수용체는 세포질에 있다. 그 외에 미각, 후각의 수용체, 면역 글로불린 수용체, 빛의 수용체(로돕신) 등이 있다.
2) 뇌질환 : 뇌에 생기는 여러 가지 병을 통틀어 이르는 말. 뇌경색(腦硬塞), 뇌졸중(腦卒中) 따위가 있다.뇌의 구조적인 병을 알려면 컴퓨터 단층 촬영(CT)이나 자기 공명 촬영(MRI)이 많이 쓰인다. 특히 뇌 질환은 환자가 모르고 있다가 갑자기 환자가 경기를 하거나 의식이 없어지면 응급 상태가 되므로 어려움이 많다.
ㅇ 자료구성 (유료 결제 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1) 탐구주제 위 미리보기 주제보다 더 구체적일 수 있습니다. 2) 탐구동기 및 세특 기재 전략 (기재 전략 부분은 탐구 주제에 맞춰 작성되어 있습니다) 3) 고찰점or결론 주제와 관련해 도출할 수 있는 고찰점 또는 결론의 가이드가 함께 제공될 수 있습니다. ❶ 고찰점, 결론 부분이 탐구동기 및 세특전략에 포함될 경우 별도 제공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❷ 고찰점과 결론은 다양한 각도에서 탐구 방향을 제시하는 서비스 차원에서 제공됩니다. 따라서 제시된 참고 자료 내용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4) 참고자료 학술 논문, 도서, 기사칼럼, 강의영상, 게시물 등 보고서 작성 시 참고 자료 및 링크 (참고자료를 바탕으로 학생이 직접 탐구한 내용을 보고서에 담아야 하며, 참고 자료에 관한 요약 정리본은 별도 제공되지 않습니다.) |
* 세특구원자 구매건 관련 모든 문의는 톡톡상담 채팅을 통해 이뤄지며
별도의 유선상담 업무는 진행되지 않습니다.
* 탐구동기 및 세특 기재 전략은 학교 제출용 자기평가서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 추천 주제에서 새롭게 학습된 내용만 추가하면 나만의 세특이 완성됩니다.
(심화탐구 연결방법, 주제가 겹치지 않는 법 등 강의 내용이 포함됩니다)
보고서 작성하러 GOGO ~
(결제 후 탐구주제 및 자료, 세특 예시 문구 등이 모두 노출되므로 환불 불가)
전주 월요일 00시부터 일요일 24시까지 집계한 결과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