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론 신경 쓰랴, 업계 눈치 보랴…갈 길 바쁜 카카오

입력
기사원문
최창원 기자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재계 TALK TALK]


카카오가 ‘먹통 사태’ 피해 지원 협의체를 만들고 지난 11월 21일 첫 회의를 열었다. 정부와 여론의 시선이 쏠린 가운데, IT업계에서도 카카오 대처에 주목한다. 무료 서비스 피해 보상 선례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보상까지는 상당 시간 소요될 전망이다. 일단 먹통 사태 관련 접수 피해 사례가 10만건에 달한다. 특히 무료 서비스 관련 보상 기준을 두고 논의가 길어질 수 있다. 명확한 보상 기준이 있는 유료 서비스와 달리 무료 서비스 피해는 사례도 다양하고, 보상 근거가 없다. 선례도 찾아보기 힘들다.

속도만 내서도 안 된다. 정부와 여론은 물론이고 IT업계도 이번 보상안을 예의 주시하고 있다. 카카오 보상안이 곧 플랫폼의 무료 서비스 관련 선례가 될 수 있어서다.

스타트업업계 관계자는 “카카오는 덩치가 크고, 현금 보상을 하더라도 견뎌낼 체력이 된다”며 “(먹통 사태 같은)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 게 중요하지만, 만약 발생하면 선례를 따르게 된다”고 말했다. 대규모 보상이 선례로 자리 잡는 걸 우려하는 모습이다.

카카오도 업계 시선을 인지하고 있다. 남궁훈 전 카카오 대표는 11월 24일 페이스북에 이프 카카오 행사 소식을 전하며 “2022년 이프 카카오는 업계 공동 성장에 방점을 두고 카카오가 업계와 함께하고자 하는 마음을 다시 새기는 기회로 삼고, 우리 노력이 실질적 IT 산업 발전에 기여하는 행사로 진행됐으면 한다”고 말했다.

이프 카카오 데브 2022는 카카오의 개발자 콘퍼런스다. 카카오는 지난달 판교 SK C&C 데이터센터로 인한 서비스 장애 원인을 분석하고, 인프라 투자 계획을 담은 재발 방지 대책을 이프 카카오 데브 2022 행사에서 발표한다.

[본 기사는 매경이코노미 제2186호 (2022.11.30~2022.12.06일자) 기사입니다]

기자 프로필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사회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