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독일 베를린에 거주하고 있는 예술가 시몬 베커트는 99개의 중고 휴대폰과 이를 싣고 다닐 수 있는 작은 손수레만을 가지고 Google 지도의 교통 정보를 조작하는데 성공했습니다. 그가 교통 정보를 조작 한 방법은 정말 단순합니다.
그가 준비한 99개의 중고 휴대폰을 켜고, 손수레에 그것을 실어 그저 차량이 적은 한적한 도로 위를 천천히 걸어 다닌 것뿐입니다. 그리고 Google 지도에는 사이먼 워커가 휴대폰을 끌고 걸어 다닌 도로 위에 교통 체증이 일어나고 있다고 표시되었습니다.
시몬 베커트의 이 작업은 간단한 의문에서 시작되었습니다. Google 지도는 여러 소스의 데이터를 집계해 작동하지만, 위치 서비스가 켜져 있는 실제 사용자의 휴대폰의 정보를 주로 사용합니다. 따라서, 만약 앞서 말한 내용대로 사용자들의 휴대폰들을 모아놓고 어떤 움직임을 더한다면 Google의 지도 시스템은 어떻게 반응할까요?
이 의문의 해답과 Google 지도 시스템의 시스템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그는 2년간 이 프로젝트를 진행해 왔습니다. 그리고 그가 도달한 결과는 Google 지도 시스템은 기본적인 방식으로 작동한다는 것입니다. 그의 이런 실험 과정과 결과는 Youtube를 통해 공개되어 있습니다. 이후 그는 자신의 실험 결과를 활용해 Google 지도 출시의 15주년을 맞이하여 자신의 작품(?)들을 끌고 베를린에 있는 Google 본사 주변을 돌아다녔습니다. 그리고 그가 원했던 것처럼 Google 지도 정보엔 교통 체증이 발생했습니다.
하지만 그가 이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발견된 것 중 사실 조금 문제가 될 수 있는 것은 구글이 수집하고 있는 위치 정보 서비스가 사용 동의가 이뤄졌다면, 실제로 앱을 사용하고 있지 않더라도 사용자의 위치 데이터가 수집되고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그의 이 프로젝트에 관한 정보들은 모두 Google에 전달되었습니다.
그리고 Google은 그의 재미난 프로젝트에 감사를 표하며 관련 내용을 9to5Google 웹 사이트를 통해 업로드했습니다. "자동차 나 카트 또는 낙타 등 다양한 방식의 이동 수단을 통해 Google 지도를 창의적으로 사용하는 것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지도 시스템을 개서하는데 크게 도움이 됩니다. 위치 서비스를 사용하도록 설정한 사용자의 데이터와 Google 지도 커뮤니티, 그리고 다양한 출처 정보 덕분에 Google 지도의 교통 데이터는 지속적으로 새로 고침되고 있습니다. 현재는 인도와 인도네시아, 이집트를 포함하여 여러 국가에서 자동차와 오토바이를 구분할 수 있는 기능에 대해 테스트를 시작했습니다. Google 지도 시스템은 계속해서 개선될 것이며, Google 지도를 창의적인 다양한 방식으로 이용하는 것은 앞으로도 지도 시스템의 개선에 크게 도움이 될 것입니다."
생생예술통
일하고 뭐하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