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반주거지역이란?
우리가 가장 많이 접하는 지역으로 편리한 주거 환경을 구성하기 위한 지역 입니다.
이 지역에는 저,중,고층 주택을 합리적이고 적절하게 입지시키고 주거 환경을 보호하고 근린생활시설 등과 조화를 이뤄야 하는 곳을 일반주거지역으로 분류합니다. 일반주거지역은 제1종, 2종, 3종으로 세분화 되어 있습니다. 세분화 된 일반주거지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제1종 일반주거지역
저층주택 중심
건폐율 : 60%
용적률 : 100~200%
4층 이하의 저층주택을 중심으로 조성되는 지역입니다.
즉, 빌라, 단독주택 등 낮은 건물들이 주를 이루고 있습니다.
이곳에는 창고시설, 수련시설, 문화 및 집회시설, 1종 근린생활시설이 들어갈 수 있습니다.
도심에서 외곽지역에서 볼 수 있는 전원주택단지나 개발이 아직 안된 지역들이 많이 해당됩니다.
제2종 일반주거지역
중층주택 중심
건폐율 : 60%
용적률 : 150~250%
평균적으로 18층 이하 중층 주택을 중심으로 조성되는 주거지역이라 할 수 있습니다.
흔히 일반적으로 아파트단지가 이 지역에 조성됩니다.
2종 근린생활시설로는 교육, 업무, 의료, 교육, 전시, 공장 발전소, 자동차관련시설, 발전소, 방송통신, 위험물 저장 및 처리시설, 천소년수련시설까지 입지가 가능합니다.
아파트 단지가 주택 밀집지역에 조성될 때 제1종 일반주거지역은 법적인 규제로 사업성에 영향을 미치므로 제2종 일반주거지역으로 변경 후 개발사업이 진행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제3종 일반주거지역
고층주택 중심
건폐율 : 50%
용적률 : 200~300%
고층건물로 층수제한이 없이 지을 수 있는 지역 입니다.
층고의 제한 또한 없어서 아파트 재건축시 수익성이 좋은 지역으로 분류 됩니다.
1종과 2종을 제외한 나머지는 모두 제3종에 해당된다고 볼 수 있습니다.
관련 사이트
▼ 함께 보면 좋은 포스트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