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리즈세아향의 IT트랜드 이야기

4G LTE와 다른 5G 차이점은? 빠른 속도와 짧은 지연시간(빠른 응답속도)

세아향님의 프로필 사진

세아향

공식

9만 팔로워

2019.04.17. 08:1119,485 읽음

5G 스마트폰 출시 후 IT 테크 전문가는 물론이고 평범한 소비자도 5G가 무엇인지 궁금증을 갖게 되었다. 물론, 4G LTE 대비 5G는 빠른 셀룰러 데이터를 제공하는 비싼 요금제 또는 최신 스마트폰의 식별 코드라 생각하는 분들도 있다. 틀린 이야기는 아니지만... 5G에 대한 보다 자세한 내용을 한번쯤을 읽어보고 지나가는 것이 좋지 않을까 생각들어 4G LTE 대비 5G의 차이점을 간단하게 살펴보려 한다.


오지는 5G

5G를 '오지'로 읽었다고 문제될까? 5G를 어떻게 읽느냐(말하느냐)의 차이 보다는 5G가 무엇인지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관련 기사 : 2년전 5G를 "오지"라 읽었던 문대통령, 이번엔 "파이브지"

5G는 기존 4G 네트워크를 대체하는 개념 보다는 보완하기 위해 고안된 기술이라 할 수 있다. 5G를 통해서 이동통신 데이터 전송 속도가 100Mbps에서 10Gbps로 빨라진다. 이로써 무선 기술이 빠른 광섬유 유선 네트워크와 맞먹는 사용성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우리나라의 5G 서비스는 2020년 상용화를 목표로 하고 있으며, 스마트폰 뿐 아니라 커넥티드 카 등 다양한 IoT 서비스의 안정적인 지원이 가능하다.


4G LTE vs 5G

4G와 5G 차이점을 한 눈에 확인할 수 있는 비교 도표는 아래와 같다. 

4G
구분
5G
1Gbps
최대 전송속도
20Gbps
10Mbps
이용자 체감 전송속도
100Mbps
15bps/Hz
최대 주파수 효율
30bps/Hz
최대 350Km/h
고속 이동성
최대 500Km/h
10ms
전송지연(레이턴시)
1ms
10만 개/
최대 기기 연결수
100만 개/
-
에너지 효율
4G 대비 100배

5G 서비스 가입 고객(5G 요금제 가입 / 5G 스마트폰 구입)은 4G 대비 5G의 빠른 속도를 원한다. 인터넷에서 쉽게 볼 수 있는 5G 서비스 설명처럼 Full HD 영화 한편을 빠른 속도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니 5G의 빠른 속도만 기억할 수 밖에 없다.


5G 서비스 핵심은 낮은 지연시간
Low Latency

지난 글('SKT 갤럭시S10 5G 속도 측정 결과')에서 5G 속도 측정 결과를 소개했던 필자도 5G 서비스 지역에서 다운로드 속도를 중심으로 소개했다. 하지만 5G는 빠른 속도만큼 중요한 또 하나가 있으니 바로 '낮은 지연시간(Low Latency)'다.


우선, 속도와 지연시간의 차이는 무엇인지 살펴보자.

데이터 전송 속도는 한번에 전송 가능한 최대 데이터 사이즈로 1초에 Gb(기가비트)를 전송할 수 있느냐를 의미한다. 지연시간(레이턴시, 응답시간)은 크기가 작은 데이터가 사용자의 단말기와 기지국 사이를 오가는데 걸리는 시간으로 ms(밀리세컨, 1/1000초)로 표시한다.


5G 서비스가 빠른 전송속도만큼 낮은 지연시간(빠른 응답속도)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이유는 4G 보다 10배 이상 빨라진 응답속도로 자율주행 자동차(커넥티드카) 서비스가 가능하게 된다. 무인 자동차 뿐 아니라 사람없이 서비스되는 다양한 IoT 기술이 낮은 지연시간으로 보다 더 완벽한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낮은 지연시간(빠른 응답속도)는 멀리 떨어진 곳에서 실제 현장에 있는 것처럼 상황 판단이 빨라지고, 지연 없이 장비나 로봇을 컨트롤할 수 있게 된다. 굳이 대용량 데이터를 보내는 것이 아니라면 응답속도의 빠름이 곧 서비스의 품질에도 커다란 영향을 준다는 것이다.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