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토교통부와 한국부동산원은 올해 3분기 전국 지가는 1.07% 상승하여 올해 2분기(1.05%) 대비 0.02%p, 20년 3분기(0.95%) 대비 0.12%p 소폭 확대되었다고 밝혔습니다.
3분기까지 누계로 3.12% 상승하였으며, 20년 3분기까지 누계 2.69% 및 19년 3분기까지 누계 2.88% 대비 높은 수준입니다.
수도권 1.23%, 지방 0.82%
서울 1.32%, 경기 1.13%, 인천 1.12%로 변동되어 수도권 지역 모두 전국 평균 1.07% 보다 높은 수준을 기록했습니다. 세종, 대전, 대구, 부산 등 4개 시의 변동률도 전국 평균보다 상회했고 가장 크게 상승한 지역은 세종으로 나타났습니다.
용도지역별로는?
주거 1.18%, 상업 1.16%, 녹지 0.95%, 공업 0.92%, 계획관리 0.88%, 농림 0.71% 등으로 나타났습니다.
*보전관리지역 : 자연환경 보호, 산림 보호, 수질오염 방지, 녹지공간 확보 및 생태계 보전 등을 위하여 보전이 필요하나, 주변 용도지역과의 관계 등을 고려할 때 자연환경보전지역으로 지정하여 관리하기가 곤란한 지역
*생산관리지역 : 농업·임업·어업 생산 등을 위하여 관리가 필요하나, 주변 용도지역과의 관계 등을 고려할 때 농림지역으로 지정하여 관리하기가 곤란한 지역
*계획관리지역 : 도시지역으로의 편입이 예상되는 지역이나 자연환경을 고려하여 제한적인 이용·개발을 하려는 지역으로서 계획적·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한 지역
*자연환경보전지역 : 자연환경·상수원 보전과 수산자원 보호·육성 등을 위하여 필요한 지역
그렇다면 거래량은?
21년 3분기 토지(건축물 부속토지 포함) 거래량은 약 78만 7천 필지(479.6㎢)로, 2분기(약 89.8만 필지) 대비 12.3%(약 11.1만 필지), 20년 3분기(87.9만 필지) 대비 10.5%(약 9.2만 필지) 감소했습니다. 건축물 부속토지를 제외한 순수토지 거래량은 약 27.3만 필지(435.6㎢)로 2분기 대비 19.4% 감소, 20년 3분기 대비 1.2% 증가했습니다.
[ 출처 : 국토교통부 보도자료 ]
▼ 함께 보면 좋은 포스트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