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올해 초 교통사고 관련 기사 중 스마트폰 사용에 대한 내용의 기사를 접한 적이 있다. 미국 교통사고 사망률이 지난 40년간 꾸준히 감소하다가 지난해인 2016년 증가세로 돌아섰다는 것. 가장 큰 이유는 바로 '스마트폰'으로 운전 중 스마트폰 사용이 교통사고 사망자를 증가세로 바꾸는데 커다란 영향을 주었다는 것이다.
미국안전협회(National Safety Council)의 보고서에서 2016년 미국 교통사고 사망률이 전년 대비 6% 증가, 부상 역시 7% 증가했음을 밝혔다. 운전 중 스마트폰 이용이 만연해지면서 이런 결과가 나타난 결과로 해석했다. 운전 중 스마트폰을 사용하면 교통사고 발생 가능성이 20배 이상 증가한다. 시속 60km로 달리는 차 안에서 운전자가 잠깐 문자메시지를 확인하는 2초 내외의 시간 동안 차량은 30m를 이동하는 것! 미국 운전자들에게 운전 습관(자세)에 대한 조사에서 운전자 중 88%가 운전 중 스마트폰을 이용한다는 보고까지 전해지면서 운전 중 스마트폰 사용이 교통 사고의 직간적적인 영향을 주는 이유라는 점을 부정하긴 어렵울 듯 하다.
상황이 심각해지는 것을 고려한 것일까? 애플은 iOS11에 '운전중 방해금지 모드'라는 새로운 기능을 추가했다.
운전중 방해금지 모드
iOS11 새로운 기능인 '운전중 방해금지 모드'는 기능명에서 알 수 있듯이 운전 중 발생하는 다양한 스마트폰 알림 기능을 제어해 운전자가 운전에만 집중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기능이다.
iOS11 이전 버전에도 '방해금지 모드'가 존재하는데... 운전 중이라는 상황이 아니라 잠자는 시간 동안 사용자가 숙면을 취할 수 있도록 스마트폰의 알림 발생을 금지하는 방해금지 모드였다.
운전 중 방해금지 모드 설정 방법은?
운전중 방해금지 모드는 사용자 환경에 맞게 설정해야 올바른 사용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대중교통만 이용하는 20대 초반의 대학생이라면 운전중 방해금지 모드가 자동으로 설정된 경우 지하철이나 버스 이용시에도 운전중 방해금지 모드가 활성화 여부를 확인하게 된다. 반대로 수동 설정해 놓은 경우 운전중 방해금지 모드가 운전 상황에도 활성화되지 않을 수 있으니 있어도 사용하지 않는 기능이 될 수 있다.
운전중 방해금지 모드는 어떻게 설정할까?
iOS11 업데이트 완료된 아이폰을 사용하고 있다면 설정 메뉴에서 '방해금지 모드 - 운전 중 방해금지 모드' 활성화 메뉴를 이용해 자동과 수동 그리고 차량 블루투스 연결될 때로 설정 가능하다.
운전을 하지 않는다면... 수동으로 설정하고
운전을 한다면... 자동 또는 블루투스 연결시로 설정하면 된다.
제어센터에서 수동으로
운전중 방해금지 모드 활성화하기
앞에서 소개한 운전중 방해금지 모드를 '수동'으로 설정했다면... 제어센터에서 수동 조작이 가능하다. 물론, 제어센터에 운전중 방해금지 모드 관련 버튼을 활성화해야 한다.
아이폰(iOS11) 제어센터에 운전 중 방해금지 모드 관련 항목(버튼)을 추가하려면... 아이폰 설정 메뉴에서 '제어 센터 - 제허 항목 사용자화' 메뉴를 선택한 후 '운전 중 방해금지 모드' 메뉴를 요청한 항목 부분으로 옮기면 된다.
메뉴 추가 후 제어센터를 실행하면 위와 같이 '운전 중 방해 금지 모드' 관련 버튼이 추가 등록된 것을 확인할 수 있고, 필요한 상황에서 해당 버튼을 통해 수동으로 활성화/비활성화 가능하다.
방해금지 모드 설정 꼭 확인하세요!
운전 중 방해금지모드를 활성화했다고 해서 모든 기능이 알아서 작동하는 것은 아니다. 조금 더 정확하게 말하면 사용자 입맛에 맞는 추가 설정이 필요하다.
방해금지모드 설정 화면에서 아래 항목을 사용자에 맞춰 설정한다.
전화 - 다음에서의 통화 허용
방해금지 모드일 때도 전화 통화 알림을 허용하고 싶다면 설정한다.
예를 들어 필자는 가족을 즐겨찾기로 등록 후 즐겨찾기만 방해금지 모드에서 통화를 허용해 방해금지 모드 상태에서도 가족들의 전화 통화는 가능하도록 설정했다.
반복 통화
반복 통화 설정을 활성화하면 3분 이내에 같은 사람(연락처)에서 두번재 전화 부터 전화를 허용할 수 있다. 이 기능은 중요한 전화를 놓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설정이라 생각하면 된다.
자동 응답 대상
모드 활성화 상태에서 응답 메시지(문자메시지)를 자동으로 발송하는 기능이다. 해당 메시지를 수신한 사용자가 '긴급이라고 추가 메시지를 보내면 방해금지 모드엣도 해당 메시지를 수신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