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엔비디아 4Q23 실적발표 : Demand 'Far Exceeds' Supply

2024.02.22. 오후 3:12

안녕하세요 올바른입니다. 좋아요는 기분이 좋습니다 :)

엔비디아의 4Q23 실적을 요약하면 "Far Exceeds"입니다. 이번 실적 매출은 YoY 265%, EPS는 486%입니다. 직전분기는 CY25 성장을 말하고 → 이번엔 CY25 이후를 살짝 보여줬습니다.

크게 두 가지 요소를 말하며 ⓐ25년 이후로도 긍정적임을 말했고, ⓑB100에 대한 수요초과 코멘트는 Hopper 제품 이후 수요가 원활히 옮겨가느냐를 말했기에 중요했습니다. 이제 다음 이벤트는 엔비디아의 연례 이벤트인 GTC 2024입니다. 기다리는 구간을 앞둔 지금, 이번 실적발표로 인해 엔비디아의 밸류에이션 부담은 다시 한 번 줄어들었습니다.

엔비디아 기업분석

2월 15일

엔비디아 4Q23 Preview : AI Boom의 시작 (바로가기)

1월 23일

엔비디아 펀더멘탈 체크 : 모든 데이터센터는 AI센터로 바뀔 것 (바로가기)

1월 11일

엔비디아 펀더멘탈 체크 : GPT 스토어의 의미, 1Q24 소비자용 GPU 쇼티지 가능성 (바로가기)

12월 27일

엔비디아와 생성형AI : 'Zero to One' 첫 해를 정리하며 (바로가기)

12월 14일

엔비디아 펀더멘탈 체크 : H100 투자금 회수기간은 얼마일까? 💵 (바로가기)

11월 30일

엔비디아 펀더멘탈 체크 : 못다한 이야기🧐, 엔비디아의 비밀 (바로가기)

11월 22일

엔비디아 3Q23 실적발표 : "2025년에도 피크아웃은 없다" (바로가기)

*해당 게시물은 단순 의견 및 기록용도이고 매수매도 등 투자권유를 의미하지 않습니다.

*해당 게시물의 내용은 부정확할 수 있으며 매매에 따른 손실은 거래 당사자의 책임입니다.

*해당 게시물의 내용은 어떤 경우에도 법적 근거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목차

  1. 엔비디아 4Q23 실적발표 : "The world has reached the tipping point of new computing era"

  2. 일주일 전 Preview와 비교 : 공급이 늘어나는 만큼 수요도 함께 늘어난다

  3. 어닝콜 정리 : 매 분기 '잠정적 가이던스'가 상향되고 있다

  4. 긍정적이었던 내용 : B100, 네트워킹, 소프트웨어, CY2025~

    • 네트워킹 또한 엔비디아의 경쟁력인 이유

  5. 부정적이었던 내용 : 중국 H20 수요에 대한 생각

  6. 투자의 생각 : 엔비디아(NVDA)


세상은 이제 새로운 컴퓨팅의 시대의 티핑포인트(Tipping Point)를 넘겼습니다. 1조 달러의 데이터센터 인프라 설치 기반이 범용컴퓨팅에서 가속컴퓨팅으로 빠르게 전환되고 있습니다. 기업은 모든 워크로드를 가속화해서 성능이나 TCO, 에너지효율성(PUE)를 개선하고 있으면서, 동시에 차세대 최신 데이터센터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Hopper 아키텍처 제품 공급이 늘어나는 구간에 Hopper 수요는 계속 개선되고 있으며 여전히 매우 강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차세대 제품(B100)이 공급 제약을 받을 것으로 예상합니다. 이에 대한 수요가 공급을 훨씬 초과(far exceed)하고 있습니다. 광범위한 산업·사용처·지역에 걸쳐 생성형AI와 LLM 훈련·추론 수요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저희는 한 번에 한 분기씩 가이던스를 드리지만, 펀더멘탈적으로는 CY2024년 및 2025년 이후까지도 지속적인 성장을 하기에 좋은 환경이 됐습니다. 저희는 두 가지 전환의 시작부분입니다. 첫 번째는 범용컴퓨팅에서 가속컴퓨팅으로의 전환입니다. CSP 및 온프레미스 데이터센터는 감가상각 기간을 4년에서 6년으로 연장했습니다. GPU를 추가함에 따라 CPU를 새로 사야 할 필요가 줄어듭니다. 데이터 처리 속도는 20배나 좋습니다. 두 번째는 생성형AI에 대한 업계 전반의 전환입니다.

엔비디아 4Q23 컨콜 中

엔비디아 4Q23 실적발표

"The world has reached the tipping point of new computing era"

CY4Q23 (FY4Q24)

  • EPS (Non-GAAP) : $5.16 vs 컨센 $4.60 (Beat)

  • 매출 : $22.1B vs 컨센 $20.4B (Beat) (YoY 265%) (QoQ 22)

    • Data Center : $18.4B vs $17.2B (Beat)

    • Gaming : $2.9B vs $2.73B (Beat)

    • Pro Viz : $463M vs $435M (Beat)

    • Automotive : $281M vs $275M (Beat)

가이던스 - CY1Q24 (FY1Q25)

  • 매출 : $24.0B vs 컨센 $21.9B (Beat)

  • GPM : 77.0% vs 75.5% (Beat)

  • OPM : 66.6% vs 64.6% (Beat)

*첫 번째 → 분기매출과 영업이익을 보여주는 차트입니다. 이번 분기 영업이익률은 62%였습니다.

*두 번째 → 분기매출과 데이터센터의 매출비중 차트입니다. 매출의 83%가 데이터센터에서 나옵니다.

*3~6번쨰 차트 → 각 사업부별 매출을 한 눈에 보시기 편하도록 그렸습니다. 데이터센터 사업부(AI)가 주도하고 있습니다.


프리미엄 구독자 전용 콘텐츠입니다.

올바른 구독으로 더 많은 콘텐츠를 만나보세요!

많이 본 콘텐츠

전주 월요일 00시부터 일요일 24시까지 집계한 결과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