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글 WebP 이미지 포맷 아세요? 구글 크롬에서 WebP를 PNG로 변경해 다운로드 받기
알게 모르게 세상은 변화하고 있다. 사실 아는 것보다 모르는 사이에 변화하는 것이 더 많다. 이번 글에서 소개할 WebP 역시 아는 사람은 알겠지만, 모르는 사람이 더 많은 새로운 이미지 포맷이다. 구글(Google)이 지원하고, 크롬 웹 브라우저를 사용하고 있다면 이미 WebP 파일 포멧을 한번쯤 만났을지도 모른다. 물론 특별한 관심없이 스쳐 지나가듯 WebP 확장자 파일을 만났다면... 이미지 파일이 아닌 그냥 웹 확장자 중 하나라고 생각하며 무심코 넘겼을지도 모른다.
WebP가 뭐야?
WebP는 구글에서 만든 이미지 파일 포맷으로 '웹피'라고 읽는다. 웹 사이트의 페이지를 보다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웹 고속화를 위해 개발된 새로운 이미지 압축 포맷이라 생각하면 이해가 빠를 듯 하다. 일반적으로 사진은 JPEG(JPG), 로고는 PNG, 애니메이션은 GIF 포맷을 사용했지만 앞으로는 WebP 하나로 모든 이미지 포맷을 대체할 수 있을 듯 하다.
다만 크롬을 중심으로 WebP 지원 웹 브라우저에서만 지원된다는 점에서 아직 대중적으로 알려지고 활용되기 시작한 과도기라 생각하면 될 듯 하다.
WebP는 구글이 On2와 함께 산 VP8 비디오 코덱 기술이다. WebP는 손실 압축(JPEG)과 비손실 압축(PNG, GIF)를 모두 지원하며, 손실/비손실 모두 약 30% 정도 용량을 줄여 보다 빠른 웹 사이트 로딩이 가능하다. 구글이 WebP를 만들어 무료로 제공하는 것은 그만큼 구글 트래픽 사용량이 많으며, 검색 및 사이트 접속 속도가 증가하면 그만큼 구글의 광고 수익이 증가할 수 있으니 구글에도 좋은 영향을 줄 수 밖에 없는 새로운 이미지 파일의 배포라 할 수 있다.
WebP 어디서 어떻게 사용하는데?
앞에서 이야기한 것처럼 우리는 인지하지 못하는 사이 새로운 서비스에 익숙해져 있다. 그 중 하나가 WebP라고 했는데... 낯설게 느껴지는 WebP 이미지 포맷을 우리는 어디에서 사용하고 있을까?
WebP는 구글이 만들어서 배포하는 만큼 다른 사이트보다 구글이 먼저 적극 활용하고 있다. WebP 지원 브라우저 역시 '크룸(Chrome)'을 중심으로 한다. 구글 서비스 중 WebP 지원 이미지 파일은 크롬 웹 브라우저 사용자를 위해서 제공된다는 것. 쉽게 말해서 구글 앱스토어 접속시 크롬으로 접속하면 WebP 파일이, 인터넷 익스플로러와 같이 WebP 미지원 웹 브라우저로 접속하면 PNG 또는 JPEG, GIF로 로딩하면서 보다 많은 자원을 소비해 크롬보다 같은 웹 사이트 로딩 속도가 늦어진다는 것!
구글 크롬 웹 브라우저로 Play 스토어 접속 후 네이버 포스트 앱의 소개 이미지 파일을 다운로드 해 보면... 위와 같이 WEBP 파일로 저장되는 이미지 파일을 확인할 수 있다. 지원하는 프로그램이 크롬(Chrome)이라서 웹페이지 파일(html)처럼 보이지만 실제 WEBP 파일은 이미지 파일이다.
실제 동일한 이미지 파일을 IE(인터넷 익스플로러)에서 다운로드 받아보면...
WebP 파일이 아닌 PNG 파일로 다운로드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처럼 WebP 파일은 크롬과 같이 WebP 지원 웹브라우저에서만 표시된다.
크롬에서 WebP 말고 PNG로 다운로드 할 수 없나요?
크롬에서 이미지 파일 다운로드 시 WebP가 아닌 PNG 파일로 다운로드 하고 싶다면... 아래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다운로드 받고 싶은 이미지를 '다른 이름으로 저장'하지 말고, '이미지 주소 복사'를 누른다. 이렇게 하면 이미지 파일의 URL을 복사할 수 있다.
복사한 이미지 파일의 URL을 주소 표시줄에 붙여넣기(ctrl+v)한다. 그리고 붙여넣은 주소 끝에 -rw 부분을 제거한다. 위에 블럭 표시된 부분(-rw)를 삭제한 후 엔터를 입력해 해당 URL에 접속한다.
-rw 제거 후 접속한 URL의 이미지를 다른 이름으로 저장하면... 위와 같이 WebP가 아닌 PNG 파일로 저장된다.
WebP랑 PNG(또는 JPEG, GIF)랑
그렇게 차이가 커?
파일에 따라서 조금씩 다르겠지만, 앞에서 이야기한 것처럼 이론적으로 WebP는 손실 압축 방식인 JPEG나 무손실 압축 방식인 PNG, GIF 보다 2/3 수준(약 70%)용량을 사용한다. 실제 위에서 테스트한 이미지 파일을 WebP와 PNG 파일로 다운로드해 용량을 확인해보자.
같은 이미지 파일을 WebP로 다운로드시 332KB, PNG로 다운로드시 503KB로 WebP 파일 사이즈가 작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웹 사이트 로딩시 활용하는 이미지 파일의 크기가 작으면 그만큼 데이터 소모도 적고, 빠른 웹사이트 로딩이 가능하다.
WebP 파일을 PNG로 어떻게 바꿔요?
이미지 접속 주소에서 -rw를 제거해 WebP 대신 PNG(또는 jpg, gif) 파일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지만, 그렇지 않은 상황이거나 이미 WebP 파일로 전달받을 경우 해당 이미지 파일을 PNG 파일로 변경할 수는 없을까?
다양한 웹 서비스에서 WebP 파일을 PNG로 변경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특별한 프로그램 설치 없이도 웹사이트에 접속해 위와 같이 변경하고 싶은 WebP 파일을 선택하거나 URL을 입력해 PNG 파일로 변경해 다운로드 할 수 있다.
WebP to PNG 이미지 파일 변환 사이트(무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