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단에는 뒷유리에 와이퍼가 없네요?
비가 많이 오는 날이면 와이퍼를 앞뒤로 켰었는데 문득 옆에 있는 세단 차량을 보니 뒷유리에 와이퍼가 없네요? 다른 차를 열심히 봤는데 다른 차도 없네요~
예전에는 세단에서도 리어 와이퍼가 설치되어 있었지만 최근에 와서는 거의 찾아보기가 힘듭니다. SUV나 해치백 등과 같은 차량처럼 세단 후방에도 와이퍼가 있다면 먼지가 쌓인 상태로 비가 내리는 것과 비슷한 상황이 발생하여 제한된 후방 시야가 단번에 해결될 일인데, 세단에는 왜 없는 것일까요?
리어 와이퍼는 리어 윈도우에 붙어있는 와이퍼입니다.
비나 눈 등 악천후 나 고속 등의 주행 시 운전자의 후방 시야를 확보하기 위해서 유리에 붙은 먼지나 물방울을 제거할 때 사용합니다.
세단에 리어 와이퍼가 없는 이유?
달리는 자동차의 전면은 공기를 상하좌우로 밀어내고 이 때 밀린 공기는 후부로 가면서 다시 원래의 위치를 되찾습니다. 공기가 즉시 원래의 위치로 돌아가는 것은 아니어서 공기가 제자리를 찾기까지 자동차의 후부는 일시적인 진공상태가 되고 그 시간이 길수록 진공상태는 길어집니다. 이 때 발생한 압력차로 인해서 자동차의 후부에서는 주변의 것을 끌어들이는 소용돌이가 발생하고, 이 현상을 와류현상이라고 합니다.
와류현상은 각종 이물질을 끌어들여서 자동차의 후면을 오염시키며 해치백이나 왜건, RV 등과 같이 별도의 트렁크가 없는 차종의 경우 이러한 현상은 더 심해집니다.
해치백이나 SUV 등의 차량에만 리어 와이퍼가 있는 이유는 공기역학상 전면부터 날아온 먼지나 빗방울을 완전히 뒤로 날려보내지 못하고 와류현상으로 인해 돌아온 일부 이물질이 리어 윈도에 그대로 달라붙기 때문입니다. 자동차 제조사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리어 윈도에 워셔액 노즐과 와이퍼를 부착하고, 와류 현상을 줄이기 위해 리어스포일러를 장착하기도 합니다.
세단의 와류현상은 리어 윈도보다 더 뒤쪽인 트렁크 리드의 끝자락에서 발생하며 구조상 필요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리어 윈도 와이퍼가 필요 없습니다. 와류 현상이 일어나는 지점과 리어 윈도 간의 거리가 멀어지면서 리어 윈도에 이물질이 달라붙는 일이 적으며 바닥으로부터 튀어 오르는 빗물이나 눈 등의 이물질도 리어 윈도에 닿기 전에 돌출된 트렁크가 막아줍니다.
국산차 중에서도 과거에 현대 투스카니, 아반떼 스포츠(XD 5도어) 모델 등에 와이퍼가 있었으며 SUV라고 해서 와이퍼가 모두 존재하는 것도 아닌데요 SUV 이면서도 와이퍼가 없는 쿠페형 SUV 예를 들어 메르세데스-벤츠 GLE 쿠페나 BMW X6 같은 모델들은 SUV이지만 공기가 루프라인을 타고 트렁크 상단까지 흐르는 세단이나 쿠페와 비슷해서 후방 유리에 리어 와이퍼가 없습니다.
비오는 날 자동차를 운행할 때는 전, 후방 시야 확보가 어려워 교통사고 위험이 매우 높기 원도 브러쉬는 제대로 움직이는지, 김을 없앨 수 있는 공조기는 정상인지 등 차량을 사전에 점검하고 서행과 함께 양보운전을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