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글('아이폰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후 최신 iOS12에 추가된 새로운 기능 스크린타임 살펴보기')에서 소개한 스크린타임 기능은 최신 버전의 iOS 12부터 사용 가능하다. 아이폰의 스크린타임(ScreenTime) 기능은 유저가 아이폰으로 어떤 앱을 얼마나 오랫동안 사용했는지 앱 카테고리 또는 개별 앱 단위로 한 눈에 보기 쉽도록 제공한다. 물론, 아이폰에서 사용한 앱별 사용 시간 확인은 물론이고, 해당 앱의 사용 시간을 제한할 수 있는 기능도 제공한다.
앱 사용 시간 제한이라고 하면 보통 '자제력이 없는 아이들의 무분별한 게임 앱 사용'을 떠올린다. 부모 입장에서 아이들이 1시간 이상 스마트폰 게임 앱에 집중하는 모습을 보면 걱정되는 건 당연!
아이폰 스크린타임은 게임 앱 사용 시간 제한은 물론이고 이번 글에서 소개할 특정 웹사이트 접속 시간 제한 까지 가능하다. 아이폰의 새로운 기능 '스크린타임'을 이용해 특정 웹사이트의 인터넷 사용 시간을 제한하는 방법을 지금 확인해보자!
필자의 아이폰 XS 맥스에서 실행한 스크린타임(ScreenTime) 지난 7일(평균) 데이터다. 주기적으로 확인하고 있지는 않지만 한달에 1~2번 정도의 빈도로 스크린타임에 쌓인 데이터로 아이폰 사용 패턴을 확인한다.
아이폰 스크린타임 기능을 실행해 직접 본인의 아이폰 사용 패턴을 확인하다 보면 의외인 항목들이 보일 수 있고, 이런 이외 항목의 사용 시간을 줄이면 불필요한 아이폰 사용을 방지할 수 있다.
클래시 로얄은 출퇴근시 심심할 때 하는 게임... 하루 평균 1시간 이하이므로 OK
페이스북은 친구 소식을 듣기 위해 사용 중... 생각보다 꽤 많은 시간을 사용하고 있어서 제한 필요
사파리는 아이폰에서 웹서핑 시간이므로 OK
T map은 주말 차량 이용시 사용 시간이므로 OK
내가 이 사이트에 이렇게 오래 있었다고?
몰랐다. 최근 인기 있는 커뮤니티 사이트라서 자주 방문해 최신 글 또는 관련 정보를 확인한 기억은 있지만 스크린 타임 상위 탑10 안에 들 줄은 몰랐다. 지금 생각해보면 궁금증 때문에 접속했을 뿐... 해당 사이트에서 얻은 정보의 대부분은 불필요한 내용이었다.
사파리(Safari) 앱 사용 시간을 통제할 수도 있지만, 아이폰 웹 서핑의 전체적인 사용 시간은 큰 문제가 없으니 해당 사이트 접속 시간만 스크린타임 기능으로 제한(통제)해 보자!
스크린 타임에 표시된 특정 웹사이트 항목을 선택하고 사용 시간을 설정한다. 사용 시간 설정 뿐 아니라 요일별 사용자 설정도 가능하다.
앱 시간 제한이 아닌 웹사이트 시간 제한이므로 테스트를 위해서 1분으로 설정했다. 그리고 해당 웹 사이트에 접속하고 설정한 제한 시간 동안 사용해 보면... 위와 같이 '시간 제한' 페이지가 나타나고 '제한 무시' 기능을 선택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다른 웹 사이트는 정상! 사파리 등 모바일 웹 브라우저의 전체 사용 시간을 제한할 수도 있지만 위와 같이 특정 웹사이트의 접속 사용 시간도 스크린타임에서 제한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