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겨울철만 되면 꽁꽁 얼어버리는 수도관,
미리 점검·관리해서 동파를 예방해보세요!
몸이 절로 움츠러드는 매서운 추위의 겨울이 왔습니다. 이런 날씨에는 체온을 유지하기 위해 온갖 난방기구와 방한용품을 사용하게 되는데요, 그러나 우리 몸만 따뜻하게 만든다고 해서 능사는 아닙니다. 우리의 신체뿐만 아니라 수도관도 추위를 타기 때문입니다.
대부분의 가정에는 필수적으로 갖춰져 있는 수도관은 수돗물을 보내는 관으로, 싱크대, 세탁기, 세면대 등 여러 곳에 연결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잘 보이지 않기 때문에 관리에 소홀한 경우가 많은데요, 이로 인해 기온이 영하로 떨어지는 겨울에는 수도관의 배관이 꽁꽁 얼면서 터져버리는 동파 사고가 심심치 않게 발생하게 됩니다.
이는 누구나 한 번쯤 겪게 되는 흔한 일이지만, 우리의 생활에 있어 꼭 필요한 물을 사용하지 못하면서 일상생활에 큰 불편함이 되기 때문에 동파가 발생하지 않도록 미리 예방하는 것이 좋은데요, 겨울철 추위로 인한 동파 사고, 어떻게 관리해야 할까요?
외부 노출된 배관은 보온재로 감싸주기
배관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경우 그만큼 매서운 추위에 꽁꽁 얼어버릴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따라서 따로 보온을 해주도록 해야 하는데요, 찬 공기의 접촉을 차단할 수 있게 은색 스티로폼 등으로 배관 겉을 꼼꼼하게 감싼 후 잘 묶어주도록 해야 합니다.
또 수도 계량기 보호함 역시 동파에 약하기 때문에 찬바람이 스며들지 않도록 내부는 헌옷, 헝겊 등으로 채워 넣고 뚜껑도 굳게 닫아두는 것이 좋습니다.
장기간 외출 시에는 수돗물 약하게 틀어놓기
보통 동파는 집을 장기간 비웠을 때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수돗물이 오랜 시간 흐르지 않을 경우 배관 내부가 더 쉽게 얼기 때문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집 안을 오래 비워야 한다면 세면대, 싱크대 등의 수도꼭지를 아주 약하게 열어 물이 조금씩 흐를 수 있도록 만들어 두는 것이 좋습니다. 이 때 물을 낭비하지 않도록 수돗물이 나오는 곳에 큰 대야 등을 놓는 것이 바람직하며, 받은 물 역시 모두 사용하도록 합니다.
수도관이 얼었을 때 해결 방법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극심한 추위에 수도관이 얼어 물이 나오지 않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럴 때 간단한 해결방법으로 꽁꽁 얼어버린 수도관을 녹일 수 있습니다.
수도관이 얼었을 경우 헤어드라이기의 미지근한 바람이나 미온수를 이용해 서서히 녹이는 것이 좋습니다. 이 때 급한 마음에 펄펄 끓는 물이나 불을 사용하시는 분들이 있는데요, 갑자기 뜨거운 물을 붓거나 불로 열을 가하는 것은 오히려 동파를 심화시키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각별히 주의하도록 해야 합니다.
글 : 하수지 에디터 / 사진 : 전유진 에디터
저작권자 ⓒ 헬스인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팔로우" 신청 후 "공감, 댓글"을 남겨주시면
매일 1분을 추첨해 '스타벅스 쿠폰'을 익일 증정합니다.
잠깐, 놓치기 아까운 건강정보 확인하세요!
